유해물질 범벅 학용품.."부모가 나서야 바뀐다"

어린이환경보건
홈 > 어린이환경보건 > 어린이환경보건
어린이환경보건

유해물질 범벅 학용품.."부모가 나서야 바뀐다"

최예용 0 4328

학용품 일부 제품에서는 기준치의 380배를 넘는 유해물질이 검출되었습니다. 전문가는 이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정부가 관련 정보를 널리 알려 소비자의 선택권을 보장함으로써 유해 불질을 쓰지 않도록 대처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유해물질 범벅 학용품.."부모가 나서야 바뀐다"

일부 제품서 기준치 380배 넘는 유해물질 검출..

중금속 범벅 조사 결과도..

전문가들 "규제 현실화, 소비자 공동 행동 필요"

아시아경제 | 김봉수 |  2016.03.03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올해 큰 애가 초등학교에 입학한 학부모 A(41)씨는 아토피가 있는 아이 때문에 학용품ㆍ준비물을 마련하느라 애를 먹고 있다. 상당수의 학용품ㆍ준비물들이 환경호르몬 등 유해물질 범벅이라 아이가 만지기만 해도 두드러기가 난다. A씨는 "문방구나 대형마트에는 유해 물질이 없는 학용품을 찾아 볼 수가 없고 관련 정보를 찾기도 힘들다"고 호소했다.

새학기를 맞아 학부모들이 '안전한 학용품' 찾기에 골몰하고 있다. 일부 학용품에서 환경호르몬이 최고 기준치의 370배가 검출되는 등 교육 환경의 유해물질 오염이 심각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안전한 학용품과 문구 등의 제조를 위해 규제를 강화하는 한편 학교에서 녹색제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 제도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653bac3a6eb847c7b943fdd3e7c07753_1457094663_1967.jpg
↑ 학용품.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음. 아시아경제DB

3일 녹색당, 여성환경연대 등에 따르면 어린이들이 사용하는 학용품 등 각종 공산물의 발암물질과 환경호르몬 등 유해물질 오염이 심각하다. 대표적으로 고무 지우개 등 플라스틱 제품에서 많이 검출되는 '다이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가 있다.

프탈레이트는 동물이나 사람의 몸 속에 들어가서 호르몬의 작용을 방해하거나 혼란시키는 '내분비계 교란물질(endocrine disrupter)'의 일종으로 카드뮴에 비견될 정도의 독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물 실험 결과 간과 신장, 심장, 허파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여성 불임, 정자수 감소 등 생식기관에 유해한 독성물질로 보고된 유해 물질이다.

실제 지난해 8월 한국소비자원이 시중에 유통 중인 어린이용 비옷과 장화 등 30개 제품을 대상으로 DEHP 검출 시험을 실시한 결과 비옷 9개, 장화 2개 등 11개 제품(36.7%)에서 검출됐다.

지난해 5월 한 환경단체가 시중에서 구입한 각종 학용품 케이스, 줄넘기, 생활용품 등 48개에 대해 민간 연구소에 의뢰해 성분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3분의 2정도에서 DEHP가 검출됐고, 절반 이상은 기준치(0.1%)를 초과했다. 제품 별로는 줄넘기 줄에서는 기준치의 369배가 넘었고, 단소와 리코더 케이스, 색연필 케이스에서도 기준치의 200배를 초과했다.

납과 카드뮴 등 중금속 오염이 심각하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여성환경연대'가 서울시 녹색시민위원회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지난해 5월부터 9월에 걸쳐 서울 시내 학교 6곳의 도서관, 체육관, 강당, 교실 등의 유해 중금속 물질 오염 여부를 조사했더니 50% 이상이 기준치가 넘는 PVC 플라스틱으로 오염돼 있었다. 납의 오염치가 기준을 초과한 경우도 35%였다. 학교 조사대상 중 약 38.8% 정도만 안전했고, 나머지 60%는 주의와 위험 판정을 받았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학용품에서 유해 물질이 넘쳐나는 것은 정부의 형식적 규제, 소비자들의 인식 부족, 기업들의 도덕적 해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에 따라 생산 단계에서부터 유해물질을 없애도록 규제를 강화하는 한편 소비자들의 알 권리 보장ㆍ정보공유시스템 구축ㆍ선택권 보장 등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김신범 노동환경건강연구소 화학물질센터 소장은 "가장 효과적인 대안은 정부가 관련 정보를 널리 알려 소비자들의 선택권을 보장해줌으로써 생존 위협을 느낀 기업들로 하여금 유해 물질을 쓰지 않도록 하는 것"이라며 "소비자 단체, 환경 단체 등이 민간 차원에서 공동으로 유해 물질 문제에 대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기사 원문보기 -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newsview?newsid=20160303170913177 

0 Comments
시민환경보건센터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