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ㆍ방사능 안전-라돈침대 11 페이지 > 환경보건시민센터
센터소개
인사말
센터연혁
조직도
주요사업영역
창립선언문
찾아오는길
정보마당
성명서 및 보도자료
환경보건시민센터 활동 언론보도
환경보건시민센터 보고서 모음
2025년
2024년
2023년
2022년
2021년
2020년
2019년
2018년
2017년
2016년
2015년
2014년
2013년
2012년
2011년
2010이전
오피니언
환경과건강 만화방/책방/영화방/도표
도표모음
김현아작가
정상래작가
이성진작가
계대욱작가
책방
영화방
현장소식 포토리포트
2025년
2024년
2023년
2022년
2021년
2020년
2019년
2018
2017
2016
2015
2014
2013
2012
2011
2010
Hot Issue
Hot issue
가습기살균제피해
초미세먼지(PM2.5)대기오염
핵ㆍ방사능 안전-라돈침대
식품안전운동
환경운동연합 바다위원회
기후변화와 시민건강
유해물질추방운동
환경오염과 발암물질
유해물질&상품 추방운동
한국석면추방네트워크
전자파공해
간접흡연공해
어린이환경보건
어린이환경보건
학교 환경보건문제
환경호르몬
공해피해자지원운동
시멘트산업공해피해
환경피해자지원운동
환경피해시민대회
기업감시운동
환경보건과 생태계
아시아환경보건운동
아시아환경보건운동
아시아석면추방네트워크
아시아산재/공해피해자대회
아시아공해지도
커뮤니티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시민기자단
환경보건민원
포토갤러리
Hot issue 동영상
웹진
환경피해기록관
가습기살균제 참사기록관
목록
자료
가습기살균제 참사 주요일지
가습기살균제 피해목록
석면피해기록관
목록
자료
석면피해 주요일지
석면 피해목록
ENGLISH
Asian Citizen's Center for Environment and Health
센터소개
인사말
센터연혁
조직도
주요사업영역
창립선언문
찾아오는길
정보마당
성명서 및 보도자료
환경보건시민센터 활동 언론보도
환경보건시민센터 보고서 모음
오피니언
환경과건강 만화방/책방/영화방/도표
현장소식 포토리포트
Hot Issue
Hot issue
가습기살균제피해
초미세먼지(PM2.5)대기오염
핵ㆍ방사능 안전-라돈침대
식품안전운동
환경운동연합 바다위원회
기후변화와 시민건강
유해물질추방운동
환경오염과 발암물질
유해물질&상품 추방운동
한국석면추방네트워크
전자파공해
간접흡연공해
어린이환경보건
어린이환경보건
학교 환경보건문제
환경호르몬
공해피해자지원운동
시멘트산업공해피해
환경피해자지원운동
환경피해시민대회
기업감시운동
환경보건과 생태계
아시아환경보건운동
아시아환경보건운동
아시아석면추방네트워크
아시아산재/공해피해자대회
아시아공해지도
커뮤니티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시민기자단
환경보건민원
포토갤러리
Hot issue 동영상
웹진
환경피해기록관
가습기살균제 참사기록관
가습기살균제 참사 주요일지
가습기살균제 피해목록
석면피해기록관
석면피해 주요일지
석면 피해목록
ENGLISH
Asian Citizen's Center for Environment and Health
메인
센터소개
정보마당
Hot Issue
유해물질추방운동
어린이환경보건
공해피해자지원운동
아시아환경보건운동
커뮤니티
환경피해기록관
ENGLISH
0
Hot issue
가습기살균제피해
초미세먼지(PM2.5)대기오염
핵ㆍ방사능 안전-라돈침대
식품안전운동
환경운동연합 바다위원회
기후변화와 시민건강
핵ㆍ방사능 안전-라돈침대
홈 > Hot Issue > 핵ㆍ방사능 안전-라돈침대
핵ㆍ방사능 안전-라돈침대
검색조건
제목
내용
제목+내용
회원아이디
회원아이디(코)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또는
그리고
검색
Hot
환영! 일본 수산물 수입금지 조치
최예용
0
6642
2013.09.06
일본 8개현 수산물 수입금지 조치, 늦었지만 환영 - 지속적인 방사능오염 확산에 따른 수입금지 확대 검토해야 지난 5일 국무총리 주재 관계장관회의(외교부, 안행부, 해수부, 농림부, 식약처, 원안위) 및 6일 새누리당과 정부가 당정협의를 거쳐 일본산 수산물 방사성물질 검출 우려에 대한 특별조치를 발표했다. 조치내용을 보면 ▲후쿠시마 주변 8개현의 모든 수산…
Hot
[환경이 건강해야(6)-방사능안전⑤] 원전 없이 어떻게 사냐고? 이렇게 살면 되지
관리자
0
6669
2014.04.10
원전 없이 어떻게 사냐고? 이렇게 살면 되지 [환경이 건강해야 몸도 건강하다6-방사능안전⑤] 원전과 신재생에너지 정책 지난 2011년 3월 11일 발생한 후쿠시마 원전 사고는 원전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얼마나 위험한가를 극명하게 보여주었다. 이제는 삼척동자도 그 사실을 안다.물론 비행기 사고나 자동차 사고도 피해자는 물론 가족들에게 큰 고통을 안겨주지만, 일…
Hot
[국민투표하자]후쿠시마 원전사고 1000일,신규원전과 수명연장문제
관리자
0
6682
2013.12.04
장하나의원실 논평 2013년 12월4일 후쿠시마 원전사고 발생 1000일, 예측불가능한 위험의 장기화 후쿠시마의 교훈, 원전계획 국민의 손에 맡기자. 장하나 의원 원자력발전소 신규 건설 추진과 수명연장 여부에 대한 공론조사와 국민투표 실시 촉구 결의안“ 추진 1. 오늘은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발생한지 1000일째 되는 날이다.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1986년 …
Hot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 누출 사고에 대한 긴급 국제 서명
최예용
0
6696
2013.10.14
일본 원전 재가동, 원전 수출 반대! 일본 정부는 생명의 근원인 바다를 더 이상 오염시키지 마라! 내각총리대신(内閣総理大臣) 아베 신조(安倍晋三) 님 경제산업대신(経済産業大臣) 모테기 토시미츠(茂木敏充) 님 원자력 규제 위원회 위원장 (原子力規制委員会委員長) 다나카 슌이치 (田中俊一) 님 요구사항 1. 오염수 누출 사고에 대해 일본 정부 책임을 분명히 하고…
Hot
[영화소개] "원전마을을 쫓겨나서"
관리자
0
6696
2014.01.07
일본 후쿠시마 원전참사가 발생으로 원전피난민이 된 사람들의 삶은 어떨까? 영화 '원전마을을 쫓겨나서 - 피난민 후차바마치의 기록'을 소개합니다. 후타바마치는 후쿠시마제1원전에서 가장 가까운 마을의 하나입니다. 월간 함께사는길 2014년 1월호 기사입니다.
Hot
[책소개] 후쿠시마 이후의 삶
최예용
0
6709
2013.06.10
[역사, 철학, 예술로 311 이후를 성찰하다]라는 부제목이 붙은 서평입니다 책은 한홍구, 서경식, 다카하시 데쓰야 한일 지식인 3명이 쓴 [후쿠시마 이후의 삶]입니다. 월간 함께사는길 2013년 6월호에 실린글을 소개합니다.
Hot
문어,오징어는 되고 가자미,농어는 안되는 까닭은
최예용
0
6743
2013.10.04
한겨레신문 2013년 9월28일자 25일 새벽 일본 후쿠시마현 북부 소마의 마쓰가와우라항에서 어선들이 시험 조업을 하려고 불을 밝힌 채 출항하고 있다. 이 항구는 후쿠시마 제1원전에서 45㎞ 떨어져 있는데, 지난 8월 원전에서 방사능 오염수가 유출된 사실이 드러나 시험 조업이 중단됐다. 마쓰가와우라(후쿠시마현)/AP 뉴시스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 우려 속어민…
Hot
일 전총리 "한국, 원전 줄이고 재생에너지 확대해야"
관리자
0
6758
2014.10.13
간 나오토 “한국, 원전 줄이고 재생에너지 확대해야” KBS 2014 10 11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당시 국정 책임자였던 간 나오토 전 총리는 "세계적으로 원자력발전소 건설이 늘지 않는 추세"라며 한국도 원전 건설에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간 전 총리는 오늘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탈핵'을 주제로 한 강연을 통해 "한국도 재생에너지 계획을 …
Hot
원전마피아가 원자력안전위원회 장악
관리자
0
6774
2013.06.13
조선일보 2013년 6월13일자 기사입니다. 原安委(원자력안전위원회), 원전 불량부품 조사때(작년 11월) 검증업체만 대상서 제외 [같은 검증업무 맡는 한국전력기술 등을 '한식구'로 인식… 범법 가능성 없다고 誤判]日원전 사고후 2011년에 출범… 정권교체기 거치며 '허송세월'줄곧 원전 산업계 이익 대변해 北核 등 큰사건 여럿 있었지만 올해 정식회의 한번도…
Hot
환영! 식품내 세슘방사능기준 100베크렐로 강화
최예용
0
6798
2013.09.06
환경단체와 시민들의 들끓는 일본 후쿠시마지역 방사능오염수 해양방류로 인한 수산물안전 우려에 대해 정부와 여당이 2013년 9월6일[후쿠시마와 주변지역의 수산물 수입금지조치]와 더불어 발표한 중요한 내용이 [우리나라 식품의 세슘 방사능 기준을 기존 370베크렐에서 100베크렐로 강화]한 것입니다. 이는 현재 일본내에서 적용하고 있는 기준입니다. 일본 전역이 …
Hot
또 드러난 품질서류 위조… 부품교체 많은 노후원전에 집중
최예용
0
6802
2013.10.11
동아일보 2013 10 12 원전 23기 모두 서류위조 부품 사용 국내에서 가동 중인 원자력발전소 23기 전체에서 품질 서류 위조 사실이 드러났다는 정부 발표는 원전업계의 총체적 난맥상을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는다. 정부의 무관심 속에 소수의 원전 부품업체와 품질검증 업체들의 뿌리 깊은 짬짜미 행태가 빚어낸 비리 구조가 고질적인 원전 안전 불감증으로 이어지고…
Hot
"폐쇄적 원자력계 구멍 내겠다!"
최예용
0
6803
2013.07.06
원자력안전위원회에 그동안 반핵,탈핵운동을 앞장서 전개해온 김혜정 환경운동연합 위원장과 김익중 동국대교수가 야당추천위원으로 선임되었습니다. 월간 함께사는길 7월호가 이들을 인터뷰했습니다.
Hot
원전해체학회 창립토론회
최예용
0
6804
2013.03.09
체르노빌이나 후쿠시마에서처럼 원전사고의 피해는 한 국가가 감당할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섭니다. 안전확보와 근본대책 강구가 너무나 시급하고 위중합니다. 안전문제에 정통한 국내외의 원자력기술전문가를 초빙하여 수명이 다한 원전의 안전문제와 해체기술에대한 해법을 강구하고자 합니다. 우리에겐 아직 제대로 된 해체기술이 없습니다. 원전 안전과도 직결되는 문제입니다.원전…
Hot
IAEA가 말하지 않는 체르노빌의 진실-독일 방사선방호협회 회장 인터뷰
최예용
0
6808
2013.04.03
[그들을 믿지마라, 시민의 손으로 진실 찾으라] 독일 방사선방호협회 회장이자 원전사고 전문가인 세바스찬 플루크바일씨의 국회강연을 보도한 함께사는길 2013년 4월호 기사제목이다. 강연회 제목은 [아이들의 미래를 위한 진실 찾기]였다
Hot
NO NUKE FISH! 일본산 방사능오염 수산물 수입금지 정당하다
최예용
0
6840
2013.09.26
아래는 2013년 9월17일 오전11시 서울에 있는 일본대사관앞에서 열린 일본 방사능오염 수산물문제 기자회견에 대한 언론보도사진입니다.환경보건시민센터와환경운동연합, 서울환경운동연합이 공동주최한 행사입니다.
초기화
날짜순
조회순
조회순
검색
11
12
13
14
15
16
Search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회원아이디
회원아이디(코)
글쓴이
글쓴이(코)
또는
그리고
검색어
필수
검색
닫기
Hot Issue
Hot issue
가습기살균제피해
초미세먼지(PM2.5)대기오염
핵ㆍ방사능 안전-라돈침대
식품안전운동
환경운동연합 바다위원회
기후변화와 시민건강
+
최신글
07.15
[20250715] 이재명정부에바란다6 - 동북아와 한반도 핵안전이 최우선이다
07.15
[20250710~11] 제4기 환경보건운동 활동가 워크숍 (2)
07.15
[20250710~11] 제4기 환경보건운동 활동가 워크숍 (1)
07.15
[뉴스1] 핵안전이 최우선
07.15
[취재요청] 이재명정부에바란다 7. LG화학 인도참사 책임묻고 재발방지 제도만들자
State
현재 접속자
469 명
오늘 방문자
1,172 명
어제 방문자
1,970 명
최대 방문자
10,307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