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원전사고시 90km떨어진 경남고성 낙진 가장 심해

핵ㆍ방사능 안전-라돈침대
홈 > Hot Issue > 핵ㆍ방사능 안전-라돈침대
핵ㆍ방사능 안전-라돈침대

고리원전사고시 90km떨어진 경남고성 낙진 가장 심해

관리자 0 6302

[단독] 원전 사고 방사능 확산 모의실험…90㎞ 떨어진 곳이 가장 오염 심해

한겨레신문 2014 1\0 10

2.jpg
클릭하면 확대

올해 개정한 비상구역 30㎞와 큰차
“계절·아침저녁 등 상황 따라 달라
기상조건 반영된 대피계획 필요”
기상청, 3억 들여 실험모델 개발
보고서만 받아놓고 후속조처 손놔

핵발전소 사고 때 주민이 대피해야 하는 방사선 비상계획구역보다 3배 먼 지역에서 오염 수치가 가장 높게 나타난 모의실험 결과가 나왔다.

9일 기상청이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장하나 새정치민주연합 의원한테 제출한 ‘동아시아 방사능 물질 확산 예측 모델 개발’ 보고서를 보면, 부산 기장군에 있는 고리원자력발전소에서 일본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 규모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 18시간 뒤 90㎞ 떨어진 경남 고성 지역에서 최대 대기농도의 오염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단법인 대기환경모델링센터는 기상청의 의뢰를 받아 새로운 방사능 물질 확산 모델을 개발해 2010년 3월17일 0시에 고리 핵발전소에서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가상해 17~18일 이틀 동안 방사성 물질이 퍼져나가는 모의실험을 했다. 지표 부근 세슘-137(Cs-137)의 농도는 1시간 뒤에는 발전소에서 560베크렐(㏃)/㎥로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18시간 뒤인 17일 오후 7시에는 발전소에서 서남서쪽 90㎞ 지점(경남 고성군)에서 1079㏃/㎥로 최대값이 나타났다.

이곳은 최근 정부가 개정해 내년부터 시행에 들어가는 방사선 비상계획구역 반경 30㎞를 훨씬 벗어난 지점이다. 국회에서는 5월2일 ‘원자력시설 등의 방호 및 방사능 방재 대책법’(방사능방재법) 일부 개정 법률안이 통과돼, 핵발전소 반경 8~10㎞ 범위로 지정돼 있던 방사선 비상계획구역을 반경 30㎞까지 확대했다.

양이원영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팀 처장은 “비상계획구역을 기계적으로 몇 ㎞로 확대하는 게 중요한 것이 아니라 계절별로, 아침저녁으로 바뀌는 기상 상황이 반영된 실질적인 방재구역 설정 작업이 중요하다. 특히 모의실험 결과를 신속하게 공개해 주민들이 사고 발생 때 대피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일본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가 발생했을 때 일본 정부는 20㎞로 돼 있던 방사선 비상계획구역을 30㎞로 확대해 주민들을 대피시켰으나 정작 핵발전소에서 50㎞ 떨어진 후쿠시마현 소마군 이타테무라 마을에서 기준치의 2천배가 넘는 방사선이 검출됐다. 당시 일본 정부는 모의실험 결과를 공개하지 않았다. 이타테무라는 뒤늦게 주민 소개 지역으로 설정됐으며 지금도 귀환이 어려운 지역으로 남아 있다.

새 모델은 아시아지역 핵발전소 사고 때 방사성 물질의 확산 예측을 위한 현업용 모델 구축을 목적으로 개발됐음에도 고리 핵발전소에만 모사(시뮬레이션)할 수 있도록 설정됐을 뿐 현업에 적용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모델 개발에는 지난 2년 동안 3억1천만원의 예산이 투입됐다.

---

고리원전 사고 땐 고성까지 방사능 오염

장하나 의원, 실험 보고서 공개…1시간 만에 방사성 물질 도달

경남도민일보 2014 10 13

부산시 기장군 고리원전에서 방사능 유출 사고가 났을 때 기상조건 모의실험을 한 결과 오염물질이 90㎞ 떨어진 경남 고성군까지 날아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장하나 의원이 이 같은 실험 결과를 담은 기상청의 <동아시아 방사능 물질 확산 예측모델 개발> 보고서를 공개했다. 이 보고서가 공개된 것은 처음이다.

이 보고서는 국립기상연구소가 개발한 방법으로 고리원전에서 방사능 유출 사고가 났을 때 현재 방사선비상계획구역(30㎞)서 3배 이상 떨어진 고성군에서 최대 1079㏃(베크렐)/㎥ 지상농도가 예측됐다.

이 같은 예측대로라면 고리원전 인근 경남지역 양산·김해·창원뿐만 아니라 밀양·함안·의령·고성·거제·통영까지 방사능 오염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모의실험은 고리원전에서 지난 2011년 일본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 규모 사고가 터졌을 때를 가정해 방사능 물질인 세슘-137, 방사성요오드-131 배출량을 후쿠시마 사고 초기 배출량과 같은 값으로 가정해 진행했다. 여기에 지난 2010년 3월 17일부터 이틀 동안(48시간) 기상조건을 적용했다.


3.png

실험 결과 고리원전 사고 발생 13시간이 지났을 때까지 방사성물질 입자가 남서풍에 의해 북동쪽 동해로 퍼지다가 그 후 북서풍 영향으로 남동쪽으로 확산해 이튿날 일본 규슈 지방까지 영향을 미쳤다.

특히 17일 사고 1시간이 지난 후 발전소에서 남서쪽으로 7㎞ 지점인 기장군 일광면에서 세슘 농도가 543㏃/㎥, 19시간 후 고리원전에서 서남서쪽 90㎞ 떨어진 고성군에서는 1079㏃/㎥이 예측됐다.

장하나 의원은 모의실험 결과에 대해 "방사성 물질이 편서풍이 형성되는 제트기류에 의해 확산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고리원전 사고 시 세슘-137 같은 방사성 물질이 대한해협을 건너 일본 규슈지역에 영향을 미칠 때도 고도 10㎞를 넘는 제트기류를 통해 확산하기보다는 고도 3㎞ 이하 기압 영향으로 방사성 물질이 퍼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지난 2011년 후쿠시마 사고 이후 국내 오염물질 유입에 대해 기상청은 거리가 1000㎞ 떨어져 있고 공기 중에 떠 있는 물질이 바람을 타고 우리나라까지 건너오지 못한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이번 모의실험 결과 방사능물질 확산에 편서풍 영향도 있지만 기압과 지형조건 등 다양한 특성이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장 의원은 고리원전에서 90㎞ 떨어진 고성군까지 고농도 방사능물질 오염이 예측됨에 따라 비상계획구역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기상 영향에 따라 방사능 확산 방향과 농도 분포가 결정된다는 사실을 이번 예측 결과에서 확인한 만큼 방사능방재시스템에 기상청 역할을 높여야 한다"고 밝혔다.

0 Comments
시민환경보건센터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