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 송전탑 공사, 한전-주민 쟁점은: 전자파위해성과 지중화

전자파공해
홈 > 유해물질추방운동 > 전자파공해
전자파공해

밀양 송전탑 공사, 한전-주민 쟁점은: 전자파위해성과 지중화

최예용 0 6705

연합뉴스| 기사입력 2013-05-20 21:05 | 최종수정 2013-05-20 21:22


3.jpg

"밀양 송전탑 공사 중단해야" (밀양=연합뉴스) 김선경 기자 = 한전이 20일 밀양 765㎸ 송전탑 공사를 재개한 가운데 밀양시 부북면 위양리 평밭마을 인근에서 주민 10여명이 한전 측 인력의 공사 중단을 촉구하며 농성을 벌이고 있다. 이들은 공사 재개에 항의하는 뜻에서 한전 직원이나 경찰에게 인분을 뿌리기도 했다. 2013.5.20 ksk@yna.co.kr

고압선 위험성·지중화 가능성 두고 시각차이 커

(서울=연합뉴스) 이세원 기자 = 20일 밀양 송전탑 공사를 두고 한전과 주민이 충돌한 것은 양측의 좁혀지지 않는 시각 차이 때문으로 보인다.

2008년 7월 밀양 주민이 송전선로 백지화를 요구하며 궐기대회를 처음 열었을 때부터 갈등이 표면화했고 5년 가까이 이어졌다.

양측은 국민권익위원회, 경실련, 민주당 조경태 의원 등 여러 루트를 통해 수십 차례에 걸쳐 대화했으나 끝내 견해차를 좁히지 못하고 20일 공사 현장에서 다시 충돌했다.

이들의 갈등에는 몇 가지 핵심 쟁점이 깔렸다.

◇ 전자파 위험성 두고 팽팽하게 대립

반대하는 주민들은 고압 송전선로가 마을을 지나면 암을 유발하는 물질이 생성돼 건강에 위협이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는 2003년 세계보건기구(WHO)가 고압송전선로의 전자파에 의한 발암물질 생성 위험을 경고한 것에 기반을 두는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일부 주민은 역학조사를 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주민은 송전탑이 경관을 해치는 것도 문제라고 생각한다. 높이 120m에 달하는 철탑이 주는 위압감을 무시할 수 없다는 것이다.

반면 한전은 송전선로 전자계의 노출 여파로 암이 진전된다는 것은 밝혀진 바가 없다는 태도이다. 또 전자파 주파수가 300㎐ 이하라서 유전자를 손상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한전 관계자는 "송전탑을 생사의 문제와 연결짓고 있는데 송전탑 자체가 해로운 것은 아니다"며 "지하에 변전소가 설치된 곳 위에서 한전 직원이 집을 짓고 살고 있기도 하다"고 말했다.

◇ 선로 지중화·345㎸ 선로 대체 송전 놓고도 이견

반대 대책위가 최근에 강력하게 요구하는 것은 고압 송전선을 땅속에 묻는 '지중화'다.

4개면 지역 1천480가구 주민 가운데 최근까지 1천813명이 한전의 지원안에 반대 서명을 했다며 주민이 보상이 아니라 지중화를 원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4.jpg
송전탑 공사장 대치 (밀양=연합뉴스) 최병길 기자 = 20일 한전이 경남 밀양지역 765㎸ 송전탑 공사를 재개한 가운데 밀양시 단장면 바드리 야산 송전탑 공사 현장에서 소수의 반대 주민들이 한전.경찰과 대치하고 있다.2013.5.20 <<지방기사참고>> choi21@yna.co.kr

한전이 제시하는 재원을 차라리 지중화 연구비용으로 전환하는 게 낫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전문가 협의체의 구성도 요구하고 있다.

한전은 지중화를 수용할 수 없다는 뜻을 수차례 밝혔다.

2조원이 필요하고 건설기간이 10년이 걸린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전문가 협의체를 구성하는 것은 공사만 지연시킨다고 판단하고 있다.

한전은 765㎸ 송전선로를 지중화하는 기술은 현재 개발돼 있지 않다고 밝혔다.

345㎸로 전압을 낮춰 지중화하는 방안이 있지만, 지중화 시작점과 끝점에 변전소 2곳을 추가로 건설해야 하고 역시 시간과 비용을 감당할 수 없다는 게 한전 입장이다.

반대 대책위는 과거에 남부산-북부산 간에 도심 송전선로를 지중화했던 것 등에 비춰보면 한전의 설명을 수용하기 어렵다며 전문가 협의체를 구성해 자세히 따져보자고 요구하고 있다.

앞서 김제남 진보정의당 의원은 "한전이 국정감사 등에서 고리-신울산 345㎸ 송전선의 용량증대가 가능하다고 밝힌 바 있다"며 "그때부터 용량증대를 했더라면 신고리 3호기 전력수송에 문제가 없었을 텐데 지금 와서 불가능하다고 하는 것은 한전이 결국 765㎸ 송전선로 외에는 어떤 대안도 고려하지 않고 있음을 자백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 보상 범위 조정도 쉽지 않아

한전이 주민에게 제시한 지원안은 ▲ 송전 설비 존속기간에 주변 지역에 매년 24억원 지원 ▲ 선로주변 지가 하락 보상 범위를 34m에서 94m로 확대하는 입법 ▲ 125억원인 지역 특수보상사업비 40억원 증액 등 13가지다.

여기에는 이주를 원하는 주민에게 주택 매입비와 이사비를 지원하고 송전선로 선하지(線下地)에 국내 최대규모 태양광 발전단지를 조성하는 안도 포함돼 있다.

대책위는 이들이 현실화 가능성이 없다며 불신하고 있다.

입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있고 보상안 때문에 주민이 분열된다는 비판도 있다.

한전은 일정이 촉박하니 일단 공사를 시작하고 필요한 보상 협의는 계속하겠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

KBS9시 뉴스

[심층취재] “전자파 피해” 반발로 송전탑 공사 갈등
  • 입력시간
  • 2013.05.15 (21:18)

5.jpg

 

<앵커 멘트>

올해 말 완공돼 140만 킬로와트의 전력을 공급할 이 신고리 원전 3호는 현재 공정률이 98%입니다.

그런데 정작 전력을 내보낼 송전선로 공사는 이처럼 경남 밀양에서 뚝 끊겨 있습니다.

지역의 반대 때문인데요.

한전은 공사 재개를 결정했습니다.

전력난 위기 속에 불거진 밀양 송전탑 문제를 양성모 기자가 심층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해발 6백 미터, 30여 가구가 사는 산골마을에 난데없이 검은 움막이 쳐있습니다.

마을 앞에 고압 송전탑 건설을 막기위해 2년 전 주민들이 만든 겁니다.

움막 뒤편 산길을 오르자, 이미 벌목이 끝난 송전탑 터가 나타납니다.

주민 반발로 공사가 중단된 겁니다.

전자파 피해 우려가 이유입니다.

<인터뷰> 한옥순(경남 밀양 평밭마을) : "철탑 들어와서 죽으나 지금 죽으나 마찬가지인 겁니다. 그래서 목숨을 내어놓고 우리를 죽이지 않으면 철탑을 여기에 못세웁니다."

송전탑을 둘러싼 갈등이 계속되면서 철탑 자재들은 이렇게 넉 달 넘게 야적장에 쌓여있습니다.

신고리 3호기에서 변전소까지 총 90킬로미터 구간의 송전탑 161개 중 공사가 멈춘 곳은 밀양 4개 면의 52개, 나머지 전 구간은 공사가 끝났습니다.

송전선로가 없으면 3조원 넘게 투입한 초대형 원전이 완공돼도 전력을 보낼 길이 없습니다.

핵심 쟁점은 송전선로를 땅에 묻는 '지중화'요구 입니다.

<인터뷰> 김준한(송전탑 반대 대책위 대표) : "지중화, 노선변경, 초전도체 그 외에 여러 가지 대안들을 전문가 협의체를 통해서 검토를 받아야된다는 게..."

하지만 한전 측은 원전 가동이 연말로 임박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말합니다.

<인터뷰> 문창배(한국전력 밀양 대책본부) : "공사기간만 12년 이상이 걸리고 비용도 약 2조 7천억 원이 듭니다."

올 겨울 예상 예비전력은 310만 킬로와트 200만 킬로와트 이하면 공공기관 강제단전까지 가는데 신고리 3호기 가동을 못하면 이 수준마저 넘어서는 비상상황이 된다는 겁니다

게다가 남은 송전탑 52개를 짓는데 약 8개월이 소요됩니다.

한전 측은 올 겨울 전력난을 막기위해 다음주 공사를 시작하겠다는 입장입니다.

KBS 뉴스 양성모입니다.

0 Comments
시민환경보건센터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