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돈 침대는 '제2의 가습기 살균제 사건'

오피니언
홈 > 정보마당 > 오피니언
오피니언

라돈 침대는 '제2의 가습기 살균제 사건'

관리자 0 4724

라돈 침대는 ‘제2의 가습기 살균제 사건’ 

박종국 경실련 시민안전감시 위원장

가습기 살균제 피해의 악몽이 채 가시기도 전에 편안하게 숙면을 취해야 할 침대에서 문제가 터졌다. 매일 사용하고 있는 침대 매트리스에서 방사성물질이 검출된 것이다. 일반 시민들은 “침대에서 왜 방사능이 나올까?” 무척 궁금할 것이다. 이는 서양식 주거문화 유입 등 아파트 생활문화와 매우 깊은 관련이 있다. 
 

건강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에 의해 출혈경쟁이 심한 침대 제작 업계도 여기에 ‘건강’이라는 콘셉트를 접목하기 시작한 것이다. 문제가 되는 대진침대는 “숙면과 건강에 좋은 음이온 발생 침대”라 홍보하면서 방사성물질이 함유된 매트리스를 생산했다. 문제는 매트리스에 쓰는 천연석재(모나자이트)를 가루로 만들어 가공하는 과정에서 라돈이라는 방사성물질이 다량 나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침구류뿐 아니라 건강을 빙자한 생활 속 유사 제품들도 정밀한 조사가 필요하다. 라돈은 무색·무취·무미의 가스이므로 사람의 감각기관으로는 감지가 불가능하다. 불활성기체이므로 호흡을 통해 라돈가스를 흡입하면 심각한 폐질환을 유발한다.  

원자력법은 우라늄광과 토륨광 등에 대한 사용 허가와 신고 등을 규정하고 있지만, 방사성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모나자이트 같은 세부 광물에 대해서는 규제 자체가 없다. 시민들의 간담을 서늘하게 했던 2011년 서울 노원구 방사능 아스팔트 사건들도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할 것이다. 

환경보건시민센터는 지난 6월5일 “라돈 침대를 10년 정도 사용했다면 10만명 중 최대 2000명 폐암 사망 추정”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하여 침대 사용자들에 대한 ‘건강영향평가’를 서둘러야 한다. 제2의 가습기 살균제 사건이 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침대 공장 노동자, 방사능 원석을 채취하는 과정에서 일했던 건설노동자, 운송과정에서 노출된 노동자들에 대한 조사도 필요하다. 또 오래된 폐매트리스를 수거하여 다른 용도로 분해·재활용하는 과정에서 종사했던 노동자들에 대한 노출도 조사해야 한다. 서둘러 수거하다보니 미처 챙기지 못한 전국 1만8000명의 집배원 노동자들의 건강검진도 이뤄져야 한다.  

라돈 침대 사태를 계기로, 대기나 수질 등 환경이 오염됐을 때 피해를 본 사람들을 지칭하는 ‘환경오염 위험인구’의 항목에 ‘유해한 생활용품 사용자’도 포함시켜야 한다. 우리나라에 유독 폐질환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곱씹어 봐야 한다. 아울러 석면 사태, 가습기 살균제 사태처럼 라돈 침대 사태 재발을 막으려면 환경성 질환 발생 즉시 피해자 현황을 파악하고 상담해주는 ‘생활환경 독성물질 예방센터’ 마련도 필요하다.  

               

그리고 국민의 생명을 담보로 엄청난 사태를 발생시킨 기업에 무한책임을 물어야 한다.



onebyone.gif?action_id=2737b822155d64eae4b697e3d6c7367

0 Comments
시민환경보건센터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