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구,광주,대전 캠페인 보도모음] 가습기살균제 사용피해자를 찾습니다

환경보건시민센터 활동 언론보도
홈 > 정보마당 > 환경보건시민센터 활동 언론보도
환경보건시민센터 활동 언론보도

[부산,대구,광주,대전 캠페인 보도모음] 가습기살균제 사용피해자를 찾습니다

최예용 0 5978

10월27일부터 시작된 전국순회 환경캠페인에 대한 언론보도모음입니다.

 

전국; SBS, 연합, 노컷뉴스, 환경일보, 베이비뉴스

부산; 부산일보, 연합뉴스

대구; 대구MBC, 영남일보, 오마이뉴스, 대구일보,

광주; 광주일보, 광주MBC, 광남일보, 광주드림, 뉴스1, 뉴시스, 연합, 무등일보

전북; 새전북신문

대전; 중도일보, 노컷뉴스, 뉴스1,

 

대전환경운동연합 관계자들이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를 찾기 위해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News1

대전NGO,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찾기 캠페인

 

뉴스1, 2015년 10월 30일

대전환경운동연합은 30일 유성구 소재의 한 대형마트 앞에서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찾기 대전캠페인을 했다.

이들은 “가습기살균제 사용으로 인한 사망자는 대전·충남 지역에서만 25명이 발생했다”며 “광역단위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사망률(39,5%)을 나타냈다”며 “2015년 말 가습기살균제 추가피해신고가 마감되는데도 정부와 제조사가 적극적으로 피해자를 찾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고은아 사무처장은 “가습기살균제 참사에서 얻은 교훈은 호흡독성을 일으킬 수 있는 스프레이용 제품을 쓰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었다며 “정부는 생활용품의 안전성 확보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

 

가습기살균제 사망률 대전·충남 '전국최고'

연말까지 피해신청 접수받아

 

중도일보 2015년 10월 29일

 

임신부와 영·유아를 사망에 이르게 한 가습기 살균제 피해 중 대전과 충남에서 사망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가습기 살균제 피해신청 기한이 오는 12월 31일 마무리돼 과거 가습기에 살균제를 사용한 경우 증상을 느끼지 못하더라도 신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환경보건시민센터와 대전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대전과 충남·북 지역의 가습기살균제 잠재적 피해자는 모두 109만명으로 추산된다.

이는 현재까지 확인된 530명의 살균제 피해자 거주지를 분석한 결과와 2011년 질병관리본부가 도시거주 37.2%가 가습기를 사용하고 이중 18.1%가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한 바 있다는 조사를 근거로 추정한 수치다.

현재까지 확인된 가습기살균제 대전지역 피해자는 38명으로 이중 15명이 숨져 사망률 39.5%로 광역시 중 가장 높다.

또 충남지역 피해자는 21명으로 이중 8명이 사망해 사망률 42.1%, 충북지역 피해자 15명 중 사망자 2명으로 충청권 시민의 피해가 큰 상황이다.

이에따라 대전환경운동연합, 환경보건시민센터, 가습기살균제피해자와가족모임은 30일 오후 2시 롯데마트 노은점에서 기자회견과 옥시제품 불매운동을 벌인다.

또 오후 6시 30분부터 대전시청 앞 2차 기자회견을 갖고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신청을 독려할 방침이다.

대전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집에서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했던 가정은 12월 말로 피해신고가 마감되기 전에 신고해야 구제를 받을 수 있다”며 “증상이 없거나 가벼운 경우라도 살균제에 의해 폐섬유화가 확인되는 경우 있고 암을 일으킬 수 있어 반드시 등록하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

 

[사회]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찾기' 캠페인 벌여

 

광주문화방송 2015년 10월29일

 

광주환경운동연합과 환경보건시민센터가
롯데마트 상무점 앞에서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찾기 캠페인을 벌였습니다.

두 단체는 12월 말로
추가 피해신고가 마감되는데
정부와 제조사가
적극적으로 피해자를 찾지 않아
이같은 캠페인을 벌인다고 밝혔습니다.

광주와 전남지역의
가습기 살균제 잠재적 피해자는
모두 33만명으로
현재 확인된 피해자 35명 가운데
사망자는 9명,
투병중인 환자는 26명에 이릅니다.

 

================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를 찾습니다"

 

새전북신문 2015 10 29

 

사상자 530명을 낸 가습기 살균제 피해신고 접수기한이 2개월 남은 가운데 피해자를 찾는 활동이 시작됐다.

환경보건시민센터는 28일 “정부는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한 소비자들이 잠재적인 피해자로 보고 적극적으로 건강 피해자를 찾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가습기 살균제 자료에 따르면, 피해 확인자 530명 가운데 전북지역 피해자는 13명으로 사망자 2명, 생존 확인자 11명이다. 또 가습기살균제 잠재적 피해자는 20만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됐다. 이는 환경보건시민센터가 분석하고 2011년 보건복지부 산하 질병관리본부가 연구 조사한 결과를 근거로 했다.

2011년 시중에 판매되던 가습기 살균제는 모두 20여종으로, 호흡기에 노출돼 폐에 영향을 주는 호흡독성을 야기했다. 감기, 폐렴과 같은 호흡기 질환 증세를 보였으며, 심한 경우 암을 유발하고 사망에 이르렀다.

환경보건시민센터는 “가습기 살균제 참사 사건의 교훈은 일상에서 아무런 의심 없이 사용하는 생활용품이 소비자들을 숨지게 하고 질병에 걸리게 한다는 사실이다”며 “이를 계기로 생활용품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정부는 이를 계기로 생활용품 안전점검을 했다고 하지만 국내 유일의 생활용품 호흡독성 안전검사를 하는 한국안전성평가연구소에 호흡독성검사를 의뢰한 용품은 단 하나도 없다”며 “호흡기로 노출되는 제품은 신체에 큰 영향을 끼치는 만큼 호흡독성 안전검사를 의무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가습기 살균제 피해는 1994년부터 판매되기 시작해 2011년 정부에 의해 시장에서 퇴출된 가습기 살균제에 의한 피해 사건으로, 지금껏 확인된 피해자는 사망 143명, 환자 387명 등 사상자 530명을 냈다.

 

================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들이 롯데마트에 모인 이유

28일 대구경북 피해자 찾기 캠페인 열어... "롯데 PB 제품 사망자 22명 달해" 주장

 

오마이뉴스 2015년 10월 29일 

기사 관련 사진
 대구환경운동연합과 환경보건시민센터 등은 28일 오후 대구시 동구 율하동 롯데마트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들의 신고를 당부했다.
ⓒ 조정훈

관련사진보기


"2005년 임신 8개월 된 배 속의 태아를 장기 이상으로 하늘나라에 보내고 다음해 다시 임신을 했어요. 하지만 태어난 지 123일 만에 다시 하늘나라에 보냈어요. 처음에는 내가 유전병을 앓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했어요..."

가습기살균제 피해자인 권민정(42, 대구시 수성구 범물동)씨가 흐느끼며 말을 잇지 못했다. 현재 두 아이의 엄마인 권씨는 자신과 같은 피해자가 다시 나오지 않도록 정부의 관심을 촉구했다.

김용태(경북 청송)씨도 "지난 2010년 11월부터 5개월간 아이를 위해 가습기를 사용했다가 2011년 4월 3살 딸아이를 하늘나라로 보냈다"며 "가습기살균제를 생산하거나 판매한 업체는 지금까지 아무런 사과나 책임지는 자세를 보이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가습기살균제 피해 추가 신고가 오는 12월 마감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지난 28일 오후 대구시 동구 율하동 롯데마트 율하점과 중구 동성로 대구백화점 앞에서 '피해자 찾기 대구캠페인'이 열렸다.

가습기살균제는 지난 1994년부터 판매되기 시작해 2011년 말 정부에 의해 시장에서 퇴출될 때까지 전국에서 800만 명이 사용해 피해를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가운데 확인된 사망자만 143명에 이르고 환자는 387명이다.

대구와 경북에서도 가습기살균제로 인한 피해자는 사망 9명과 투병 중인 환자 24명 등 33명이다. 잠재적 피해자도 대구35만 명과 경북 15만 명 등 모두 5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기사 관련 사진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모임이 28일 오후 대구시 동구 율하동 롯데마트 앞에서 전국순회 캠페인을 가진 가운데 피해자들이 플랭카드를 펼쳐보이고 있다.
ⓒ 조정훈

관련사진보기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모임과 대구환경운동연합, 환경보건시민센터는 롯데마트 대구율하점 앞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정부와 제조사가 적극적으로 피해자를 찾지 않고 있다"며 "증상이 없거나 경미한 경우라도 폐섬유화가 확인되는 경우가 있고 암을 일으킬 수도 있기 때문에 반드시 신고하고 조사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한 소비자들이 모두 피해를 입었을 것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신고된 피해자의 사망률이 27%에 달해 가습기살균제 사용 자체가 건강에 치명적인 피해를 일으킨 것으로 추정했다.

이들은 롯데마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연 이유에 대해 "롯데마트가 자사 브랜드로 PB(Private Brand) 제품을 만들었다. 대형마트 PB제품 중에는 롯데마트 피해자가 가장 많았다. 피해자가 60명이 넘고 사망자가 22명에 달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참가자들은 "정부가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들에 대해 관련성을 판정해 1~4등급으로 구분하고 관련성이 높은 1~2등급에 대해서만 병원비와 장례비를 지원하고 있다"며 "3~4등급 피해자들이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것은 억울하다"고 호소했다.

김덕종(40, 경북 구미시)씨는 "2009년 당시 호흡 불량으로 중환자실로 실려갔던 4살 아이가 입원 후 3일 만에 싸늘한 시신이 되어 돌아왔다"며 "2014년 가습기살균제가 원인이라는 걸 밝히기 전까지는 인체에 무해한 것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김씨는 "기업은 인체에 무해한 것이라고 광고하고 판매해 그대로 믿었다가 이런 사태가 발생했다"며 "피해자는 있어도 가해자는 없는데 정부는 도대체 뭘 하는지 모르겠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들은 "생활용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호흡독성을 일으킬 수 있는 스프레이 제품의 사용을 중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모든 스프레이 제품은 판매 전에 제도적으로 호흡독성 안전검사를 의무화할 것을 촉구했다.

이후 가습기피해자모임은 광주(30일)와 대전(31일), 수원(11월 5일), 인천(11월 6일), 서울(11월 7일)에서도 전국순회 캠페인을 가질 예정이다.

====================================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를 찾습니다"

부산일보 2015 10 27

 

▲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찾기 전국 순회 첫 캠페인이 27일 오후 부산 중구 광복동 롯데마트 앞에서 열렸다. 부산환경운동연합과 환경보건시민센터 등이 참여해 시민들에게 가습기살균제의 피해를 알리고 있다. 윤민호 프리랜서 yunmino@naver.com
 
<a href='http://www.ads-optima.com/www/delivery/ck.php?n=ac5c0cff&cb=INSERT_RANDOM_NUMBER_HERE' target='_blank'><img src='http://www.ads-optima.com/www/delivery/avw.php?zoneid=432&cb=INSERT_RANDOM_NUMBER_HERE&n=ac5c0cff' border='0' alt='' /></a>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를 찾는 전국 캠페인이 부산에서 시작됐다. 
 
부산환경운동연합, 부산녹색당, 환경보건시민센터, 가습기살균제피해자와가족모임은 27일 오후 2시 부산 롯데마트 광복동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부산을 시작으로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를 찾는 전국 순회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시민단체·피해자모임 참여
전국 순회 캠페인 부산서 첫발

 
전국 순회 캠페인은 이날 부산에서 시작해 28일 대구, 29일 광주, 30일 대전, 다음 달 5일 경기 수원, 6일 인천, 7일 서울에서 잇따라 열린다. 

주최 측은 가습기 살균제 피해 신청 기한이 오는 12월 31일까지 연장됐지만, 3차 피해접수 신고자가 70여 명에 불과하다며, 정부와 제조사가 적극적으로 피해자를 찾고 있지 않아 직접 나서게 됐다고 캠페인의 취지를 설명했다. 

환경보건시민센터 최예용 소장은 "증상이 없더라도 폐섬유화가 확인되는 경우가 있고, 폐섬유화는 암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피해가 의심되는 경우 반드시 신고해 등록하고 조사를 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주최 측은 부산 22만 명 등 부산과 울산, 경남의 가습기 살균제 잠재적 피해자가 최소 46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지만, 피해 확인자는 사망자 9명과 투병 중인 환자 22명 등 모두 31명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또 폐 이식으로 살아난 피해자도 2명이 있다고 덧붙였다.

환경부는 지난해 7월부터 1·2차 조사를 벌여 221명을 가습기 살균제 폐질환 피해자로 인정했다. 3차 조사를 위한 피해 신청 접수기한은 이달 10일까지였고, 환경부는 피해 조사 사실을 몰라 신청을 못한 피해자가 있을 수 있어 기한 연장이 필요하다는 국회와 피해자들의 요구에 따라 신청 기한을 올해 말까지 연기했다. 이대성 기자 nmaker@

 

0 Comments
시민환경보건센터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