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일보] 경북 북동부 산불 폐기물…“처리 비용만 1500억 이상”

환경보건시민센터 활동 언론보도
홈 > 정보마당 > 환경보건시민센터 활동 언론보도
환경보건시민센터 활동 언론보도

[국민일보] 경북 북동부 산불 폐기물…“처리 비용만 1500억 이상”

관리자 0 17

경북 북동부 산불 폐기물…“처리 비용만 1500억 이상”

국민일보 2025.4.6 

재 속에 남은 1급 발암 물질 ‘석면’도 주민 건강 위협해 대책 마련 절실 



경북 안동시 임하면 금소리에서 소방대원들이 불탄 주택에 진화 작업을 하고 있다. 경북도소방본부 제공



경북 북동부 산불 피해조사가 진행될수록 폐기물 처리 문제도 골칫거리로 부각되고 있다.

8만4000여t의 폐기물이 쏟아진 지난 2022년 울진 산불과 비교해 최소 10배 가까운 폐기물이 예상된다. 여기에 공장 등 사업장 폐기물까지 포함하면 폐기물 규모는 더 늘어난다.


6일 경북도에 따르면 이번 산불로 도내 5개 시군에서 3900채 이상의 주택이 불에 탄 것으로 잠정 집계되고 있다. 피해 주택 대부분은 전소됐다.

울진 산불 당시에는 주택 415채가 불에 탔고 주택 부문에서만 8만4400t이 폐기물이 나왔다. 산술적으로도 이번 경북 산불 피해지에서 10배 가까운 폐기물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이 같은 폐기물 처리에 최소 1500억원이 들 것으로 추산됐고 처리 기간도 최소 2∼3개월이 걸릴 전망이다. 울진 산불 때는 폐기물 처리에 155억5000여만원이 투입됐다.

경북도 관계자는 “현재 피해조사가 진행 중인데 피해조사가 끝나고 피해액과 이를 바탕으로 한 복구액이 나오면 폐기물 처리 규모를 파악할 수 있다”며 “우선 2022년 울진 산불 상황과 비교해 폐기물 규모를 예측하고 처리를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달 22일부터 일주일간 도내 5개 시군으로 번진 이번 산불로 인한 주택 피해는 지난 4일 기준으로 3927채가 불에 탄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전소가 3441채, 반소가 185채, 부분적으로 탄 경우가 301채다.

시군별 주택 피해는 영덕이 1478채로 가장 많고 안동 1212채, 청송 770채, 의성 357채, 영양 110채다.

당국은 공장 등 사업장 폐기물은 자체 보험 등에 처리 비용이 포함돼 있고 자체 처리가 원칙이나 피해 시군 발생량 등을 별도 파악한 후 지원 건의 등을 검토할 계획이다.



경북 안동의 한 산불 피해 마을. 석면 오염 우려 지점을 노란 점선으로 표시했다. 안동환경운동연합·대구환경운동연합 제공
여기에다 타고 난 재 속에 남은 1급 발암물질 ‘석면’이 주민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 것도 문제다. 슬레이트 지붕이 타며 드러난 석면 조각들이 또 다른 재앙의 불씨가 되고 있는 것이다.

최근 환경보건시민센터와 한국석면추방네트워크가 발표한 공동 보고서는 “산불로 파괴된 주택과 창고 대부분은 석면이 포함된 슬레이트 지붕을 갖고 있었고 이들이 불에 타며 공기 중에 대량의 석면 가루가 흩날렸을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석면은 폐암이나 악성중피종 등 심각한 질환을 일으키며 최대 40년의 잠복기를 거쳐 증상이 나타난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1년 이후 환경성 석면질환으로 인한 피해자는 8254명에 달하며 그 중 35%는 이미 목숨을 잃었다. 이번 산불로 인한 추가 피해가 얼마나 될지는 아무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더 큰 문제는 이런 위험이 산불 이후 복구과정에서 더욱 증폭된다는 점이다. 슬레이트는 불에 타면서도 부서지기 쉬워 조금만 충격을 받아도 미세한 석면 가루를 뿜어낸다. 이로 인해 철거 작업자나 복구에 참여한 자원봉사자들 그리고 이재민들까지 고스란히 노출될 수 있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보고서에서도 “현장에 투입되는 모든 인력은 반드시 보호 장구를 착용하고 파편은 밀봉해 석면전용매립지로 옮겨야 한다”고 권고했다.

하지만 석면에 대한 경각심은 여전히 낮고 제대로 된 보호 장비 없이 복구 작업에 나서는 경우도 허다하다. 특히 농촌이나 산간 마을에서는 슬레이트 지붕이 여전히 흔하며 이런 구조물은 제대로 된 통계에도 잡히지 않는다.

환경단체 관계자는 “정부와 지자체, 산림청, 소방청이 협력해 석면 문제를 산불 복구의 핵심 과제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0 Comments
시민환경보건센터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