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일보] “낙동강 최상류 ‘오염 공장’ 석포제련소 폐쇄해야”
제련소~안동댐 오염 실상 연구
14개 논문 분석해 위험성 강조
“낙동강 유역에 장기적 위험
폐쇄·이전 등 사회적 협의
1300만 영남 주민의 식수원인 낙동강 최상류, 경북 봉화군 석포면에는 비철금속 제련 기업 영풍의 석포제련소가 50년 넘게 자리하고 있다. 인적 드문 백두대간 첩첩산중에 둘러싸여 세간의 관심에서 멀어졌던 석포제련소가 폐수 유출 등 연이은 환경법 위반으로 조업정지 처분을 받으며 재조명 되고 있다.
최근 석포제련소는 폐수 무단 배출로 2개월 조업정지가 대법원에서 확정된 데 이어 환경 통합 허가 미이행으로 10일이 추가됐다. 환경 당국의 조사와 재판 등을 통해 그간 감춰진 석포제련소의 실상이 조금씩 드러나면서 시민환경단체와 낙동강을 젖줄로 살아가는 부울경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오염 공장’을 폐쇄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지난 10일 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은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센터 사무실에서 〈부산일보〉와 만나 “1300만 명이 식수로 사용하는 낙동강 최상류에 엄청난 오염원이 50년 넘게 가동하고 있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40년 가까이 환경오염 방지와 피해자 권익을 위해 싸운 최예용 소장은 석면 사용 금지와 가습기 살균제 문제 등에 힘을 쏟았다. 특히 가습기 살균제 문제와 관련해서는 2018년 출범한 사회적참사 특별조사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활동한 바 있다. 6년 전부터는 석포제련소의 환경오염과 주민피해 실태를 밝히는 것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최예용 소장은 최근 환경부가 조사 의뢰해 제련소부터 안동댐 방류지점까지 140km의 낙동강 상류의 오염 실상에 대해 연구한 14개의 학술 논문을 분석해 일반에 공개했다. 최 소장은 “분석한 결과, 안동호와 상류 낙동강 지류, 본류의 표층수, 퇴적물 등의 중금속 오염이 모두 석포제련소를 가리킨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석포제련소의 카드뮴 폐수 유출은 검찰 기소 내용으로도 확인된다. 카드뮴과 아연을 내보낼 오염원은 석포제련소가 유일하다”면서 “안동호와 낙동강 상류와 같이 퇴적물이 카드뮴과 같은 유해 중금속에 농도로 오염된 유사한 사례를 세계적으로 찾아보기 힘들다”고 꼬집었다.
석포제련소는 2013년 이후 10년간 환경법령 위반으로 적발된 건수가 76건에 달한다. 또 2021년에는 제련소 인근 낙동강에서 기준치의 4578배가 넘는 카드뮴이 검출돼 과징금 281억 원을 부과 받아 환경부와 소송 중이다. 카드뮴은 세계보건기구(WHO) 지정 1급 발암 물질으로 ‘이타이이타이병’으로 잘 알려진 중금속이다. 최 소장은 “낙동강 상류의 카드뮴과 아연 농도가 매우 높다는 사실을 여러 논문이 지적하고 있다. 이 지역에 다슬기와 곤충류가 사라진 이유를 생태독성 등의 과학적 방법으로 입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제련소와 먼 하류로 갈수록 중금속 농도가 낮아지지만, 낙관할 수 없다는 것이 최 소장의 지적이다. 그는 “중금속은 증발하거나, 반감기로 사라지지 않는다. 퇴적물로 강과 안동호에 가라앉아 있는 것”이라며 “이같은 퇴적물이 2차 오염원으로 방출되면 낙동강 유역에 장기적인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최예용 소장은 이같은 분석을 토대로 석포제련소 폐쇄를 위한 사회적 논의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최 소장은 “석포제련소 조업정지 기간은 공장 가동 전후의 환경 영향을 비교해볼 수 있는 최적의 시기”라며 “이를 계기로 폐쇄·이전을 비롯해 석포면 환경오염 복원과 지역사회 발전 등을 종합적으로 논의하기 위한 사회적 협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