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강신문] 유족 “22대 국회 나서 가습기살균제 참사 해결해야”

환경보건시민센터 활동 언론보도
홈 > 정보마당 > 환경보건시민센터 활동 언론보도
환경보건시민센터 활동 언론보도

[현대건강신문] 유족 “22대 국회 나서 가습기살균제 참사 해결해야”

관리자 0 65


 유족 “22대 국회 나서 가습기살균제 참사 해결해야”
3ad81a9eafe300134031eeac9a93159d_1718934228_7339.jpg

가습기살균제 참사 유족과 환경보건시민센터는 지난 19일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환경보건시민센터에서 가습기살균제 참사의 핵심 가해기업 옥시와 SK의 책임을 묻고, 22대 국회가 가습기살균제 참사의 해결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현대건강신문=박현진 기자] 가습기살균제 참사 유족과 환경보건시민센터는 지난 19일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환경보건시민센터에서 가습기살균제 참사의 핵심 가해기업 옥시와 SK의 책임을 묻고, 22대 국회가 가습기살균제 참사의 해결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환경보건시민센터 최예용 소장이 “SK가 처음 가습기살균제를 팔기 시작한 게 1994년이니 올해 30년째”라며 “2011년까지 18년 동안 살인제품이 1천만 개나 판매되었지만 아무도 몰랐다”고 밝혔다.


최 소장은 “실제로는 소비자들이 지속적으로 제품안전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지만 기업들이 묵살했고 정부는 외면했다”며 “2011년 8월 정부의 역학조사결과 발표로 세상에 처음 알려졌지만 이후 13년이 지나도록 제대로 해결되지 않고 있다”고 참사 이후 과정을 설명했다.


22대 국회의 역할을 강조한 최 소장은 “기업과 정부의 책임이 너무나 명백한 사회적 참사인데 해결이 너무 더디다”며 “민생을 제대로 해결하라는 무서운 민심이 표출된 22대 국회가 나서서 가습기살균제 참사를 제대로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2024년 5월말까지 정부에 신고된 가습기살균제 피해자가 7,948명이다. 이중 사망자가 23%인 1,859명으로 신고자 4명 중 1명꼴로 사망자 비율이 매우 높다.


피해신고자의 72%인 5,727명이 피해구제법에 의해 인정되어 이전에 비해 인정률이 크게 높아졌다. 


서울환경운동연합 이민호 팀장은 “여전히 10명중 3명꼴로 불인정 혹은 미판정상태로, 인정되었다고 하더라도 상당수가 피해등급이 너무 낮아 실질적인 구제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고 구제법의 문제를 지적했다.


옥시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하다 부인을 잃은 최주완 씨는 “옥시는 제품 표면에 ‘아이에게도 안심’이라고 광고했다”며 “이 광고를 보고 많은 부모들이 아이를 위해 제품을 구입했고 결국 아이들이 죽었다”고 밝혔다.


2016년 검찰이 옥시 관계자를 수사할 때 영국기업인 옥시의 외국인 임원은 단 한명도 수사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검찰이 핵심피의자인 전 옥시사장 거라브 제인을 인터폴에 적색 수배 했는데 8년이 다되도록 국내 소환하지 않고 있다. 

0 Comments
시민환경보건센터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