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모음> 서울지역 가습기살균제 피해실태 기자회견에 대한 언론보도
2021년 6월30일 수요일 오전11시 서울시청앞에서 열린 서울지역 가습기살균제 피해실태 발표 기자회견에 대한 언론보도 모음입니다.
<서울지역 언론보도>
https://www.news1.kr/photos/view/?4848326
http://www.ilyoseoul.co.kr/news/articleView.html?idxno=453881
http://hnews.kr/m/page/view.php?no=56815
http://www.hkb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38129
https://newsis.com/view/?id=NISI20210630_0017618966
https://newsis.com/view/?id=NISI20210630_0017618969
[현장]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들 “누가 잘못했다는 말 한 마디라도 해 줬으면”
- 기자명 일요서울 김혜진 기자
- 입력 2021.06.30

30일 가습기살균제 피해자·가족 및 환경시민단체(환경보건시민센터·가습기살균제참사전국네트워크·경기환경운동연합·수원화학물질알권리네트워크) 등은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기업에 책임을 촉구했다.
[일요서울ㅣ김혜진 기자] “가습기살균제를 써 온 장모님과 집사람이 2014년 2월 중순 하늘나라로 갔습니다. 이제 더 이상 뭐라고 이야기해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그냥 가습기살균제 기업들이 잘못했다는 말 한마디만 해줬으면 좋겠어요.”
30일 가습기살균제 피해자·가족 및 환경시민단체(환경보건시민센터·가습기살균제참사전국네트워크·경기환경운동연합·수원화학물질알권리네트워크) 등은 서울시청 앞에서 ‘끝나지 않은 가습기살균제 참사 진상규명! 서울시 가습기살균제 피해 조사 발표 및 책임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가습기살균제 참사는 국내외 최악의 환경보건 참사”라며 “정부는 가습기살균제 참사를 진상규명하고, 사법부는 정부와 가해 기업에 책임을 물으라”고 촉구했다.
이날 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은 “올해 8월이면 가습기살균제 참사가 세상에 알려진 지 10년이 되는 날이다. 5월 초에 시작한 전국 순회 가습기살균제 지역별 피해 실태 조사 발표를 15번째 해오고 있다”며 “가습기살균제를 만들어서 판 가해 기업들의 책임이 명백한데도 불구하고 정부의 무관심과 방치로 기업들은 무죄 판결을 받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30일 가습기살균제 피해자·가족 및 환경시민단체(환경보건시민센터·가습기살균제참사전국네트워크·경기환경운동연합·수원화학물질알권리네트워크) 등은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기업에 책임을 촉구했다. 발언 중인 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
이어 “서울 시민이 1000만 명이라고 하는데 그분들 중 가습기살균제를 쓴 사람은 수십만 명이고 그들 중에서도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하며 건강 피해를 입은 분들이 무려 18만 명이나 된다. 이 중 채 1%도 안 되는 1637명만 신고 돼 있다”며 “가습기살균제 참사는 시민들한테 잊혀 져서는 안 된다. 정부는 가습기살균제 참사의 진상을 규명하고 피해자들이 기업으로부터 제대로 된 배상을 받을 수 있도록 조취를 취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최경선 씨는 발언에서 “(가습기살균제를) 10여 년간 사용했다. 2011년 가족 4명이 모두 피해를 입었지만 2014년에 4명 모두 피해자로 인정받지 못 했다”며 “당시 아들은 이유식도 하기 전이었는데 간수치가 많이 올랐었다. 간수치가 오를만한 원인이 전혀 없었는데도 가습기살균제 보건센터에서는 ‘연관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아이가 지금은 걷지도 못하는 상황에 이르렀다”고 울분을 토했다.
그러면서 최 씨는 “10년이면 강산이 바뀌는데 엄마로서 언제까지 지켜보기만 해야 하느냐”며 “가습기살균제로 인해 후유증과 합병증 등을 관리해야 하는 상황이다. 죽어가는 아이의 모습을 지켜봐야 되는 엄마의 마음을 이해해 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30일 가습기살균제 피해자·가족 및 환경시민단체(환경보건시민센터·가습기살균제참사전국네트워크·경기환경운동연합·수원화학물질알권리네트워크) 등은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기업에 책임을 촉구했다. 발언 중인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최경선 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