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여전한 석면피해, 공사현장 무방비
최예용
0
12975
2014.03.06 18:14
2014년 3월5일 SBS 8시뉴스
1급 발암물질인 석면이 유해물질로 취급되기 시작한 건 지난 90년부터입니다. 하지만, 그 뒤에도 석면 피해자를 국가가 구제해주는 제도는 없었다가 3년 전부터 관련 구제법이 시행됐습니다.
이 제도를 이끌어내면서 첫 구제 대상자로 선정됐던 피해자가 그제(3일) 석면 병으로 숨졌습니다. 아직도 우리 주변에는 석면에 무방비로 노출된 곳이 적지 않습니다.
뉴스인 뉴스, 조기호 기자입니다.
<기자>
고 최형식 씨는 석면으로 발병하는 암인 악성 중피종으로 5년 넘게 앓아오다 이틀 전 숨졌습니다.
석면을 만져본 적이 없던 최씨는 생전에 석면 피해를 하소연할 곳이 없었습니다.
[故 최형식 씨 생전 영상 : 나는 어차피 걸렸지만 다음에 걸릴 수 있는 사람이 국가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면…]
우여곡절 끝에 1980년대 광명시 재개발 현장 근처에서 오래 살았던 게 발병 원인이란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철거 과정에서 석면이 함부로 취급됐고 근처에 산 최씨가 석면에 지속적으로 노출됐던 겁니다.
암 진단을 받은 이듬해 최씨는 환경단체와 함께 정부에 구제를 청원했고, 이를 계기로 정부는 석면피해구제법을 만들었습니다.
석면피해자가 생활비와 치료비를 지원받을 길이 처음 열린 겁니다.
하지만 지금도 석면 관리는 여전히 부실합니다.
여기저기 부수고 파헤치는 작업 때문에 주민들은 고통을 호소합니다.
[최순옥/재개발 현장 인근 주민 : 목도 아프고, 눈물도 나고.]
전문가와 함께 철거 현장에 들어가 봤습니다.
다른 건물에서도 석면이 포함된 자재를 마구잡이로 뜯어낸 흔적이 나옵니다.
[최예용/소장, 환경보건시민센터 : (석면이 포함된) 벽체를 뜯어서 잘게 부숴서 순환용 골재로 다시 써요. 그러면 제 2,3의 석면 공해가 일어나는 거죠.]
하지만, 공사 현장 주변 어디에도 이런 석면을 걸러내는 장치나 시설은 전무합니다.
20~30년 뒤 또 다른 피해자가 나오지 않도록 건설 현장에서의 보다 철저한 석면 관리가 절실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