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차원 피해자 건강영향 역학조사, 피해 구제 나서야

8일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이재명 정부에 바란다-라돈침대 사용 피해자 건강역학 조사하라’ 기자회견 /사진제공=환경보건시민센터8일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이재명 정부에 바란다-라돈침대 사용 피해자 건강역학 조사하라’ 기자회견 /사진제공=환경보건시민센터

[환경일보] 7월8일 36℃로 강렬한 햇빛이 내리쬐는 서울 광화문 광장. 환경보건시민센터, 라돈침대피해자모임, 아시아모니터리소스센터 등에서 참여한 회원들이 ‘이재명 정부에 바란다-라돈침대 사용 피해자 건강역학 조사하라’ 기자회견을 열었다.

단체는 기자회견에 앞서 ‘라돈침대 사용자 건강역학조사’, ‘라돈침대 피해자 구제대책 마련’, ‘이재명 정부에 바란다’의 구호가 적힌 팻말을 들고, 커다란 방사능 표시판을 바닥에 깔았다. 한 참가자는 방독면을 쓰고 ‘라돈아이’라는 라돈측정기를 손에 들고 ‘방사능표시판 라돈침대’ 위에 눕는 퍼포먼스를 진행했다. 

한편 2005년부터 2018년까지 대진침대가 만든 29종류 10만여 개의 침대 사용자들은 실제 방사능 라돈에 노출됐다. 2018년 대진침대와 문재인 정부가 부랴부랴 침대를 수거했지만 모두 수거한 것은 아니었다. 단체에 의하면, 2025년 1월까지 뉴웨스턴슬리퍼 대진라돈침대 사용자는 3월 은평성모병원에서 폐암을 진단받고 수술대에 올랐다고 전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1군 발암물질 라돈의 인체 위험성을 강조해 온 서울대 백도명 명예교수와 5000여명의 대진라돈침대 사용자들의 민형사소송 원고를 대리한 김태현 변호사도 함께 했다.

단체는 방독면을 쓰고 ‘라돈아이’라는 라돈측정기를 손에 들고 ‘방사능표시판 라돈침대’ 위에 눕는 퍼포먼스를 진행했다. /사진제공=환경보건시민센터 

7월3일 대법원은 대진라돈침대 사용자 120명이 제기한 손해배상 소송에서 대진침대 측에, 원고들에게 정신적 피해를 배상하라는 2심 판결을 확정했다. 다른 사용자들이 대진침대를 상대로 낸 4건의 손배소송 역시 원고 일부 승소를 내용으로 하는 대법원 판결이 이날 확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