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보도자료] 가습기살균제 참사주범 옥시와 SK는 책임져라, 22대 국회가 해결하라

성명서 및 보도자료
홈 > 정보마당 > 성명서 및 보도자료
성명서 및 보도자료

[사진 보도자료] 가습기살균제 참사주범 옥시와 SK는 책임져라, 22대 국회가 해결하라

관리자 0 260

환경보건시민센터 보도자료 2024년 6월19일 


2024년 6월19일 오전10시30분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환경보건시민센터에서 가습기살균제 참사의 핵심 가해기업 옥시와 SK의 책임을 묻고, 22대 국회가 가습기살균제 참사의 해결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이 열렸습니다. 


먼저, 환경보건시민센터 최예용 소장이 " SK 가 처음 가습기살균제를 팔기 시작한 게 1994년이니 올해 30년째다. 2011년까지 18년동안 살인제품이 1천만개나 판매되었지만 아무도 몰랐다. 실제로는 소비자들이 지속적으로 제품안전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지만 기업들이 묵살했고 정부는 외면했다. 2011년 8월 정부의 역학조사결과 발표로 세상에 처음 알려졌지만 이후 13년이 지나도록 제대로 해결되지 않고 있다."라고 그간의 과정을 설명하면서 "기업과 정부의 책임이 너무나 명백한 사회적 참사인데 해결이 너무 더디다. 민생을 제대로 해결하라는 무서운 민심이 표출된 22대 국회가 나서서 가습기살균제 참사를 제대로 해결해야 한다"고 기자회견 취지를 설명했습니다. 


이어 서울환경운동연합 이민호 팀장이 " 2024년 5월말까지 정부에 신고된 가습기살균제 피해자가 7,948명이나 된다. 계속 늘어나고 있어 연말까지 8천명이 넘을 것으로 보인다. 이중 사망자가 23%인 1,859명으로 신고자 4명 중 1명꼴로 사망자 비율이 매우 높다. "라며 최근의 피해신고현황을 밝혔습니다. " 피해신고자의 72%인 5,727명이 피해구제법에 의해 인정되어 이전에 비해 인정률이 크게 높아졌다. 그러나 여전히 10명중 3명꼴로 불인정 혹은 미판정상태다. 인정되었다고 하더라도 상당수가 피해등급이 너무 낮아 실질적인 구제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고 구제법의 문제점을 지적했습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가습기살균제 가족피해자, 유족 등이 참석했습니다. 


먼저, 가족 4명이 모두 피해구제인정을 받았지만 배보상은 한 명도 받지 못하고 있다는 채경선 피해자는 " 우리 가족은 옥시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했다. 피해구제인정된 5,727명중 거의 대부분인 89% 5,087명이 옥시 사용자다. 그런데 옥시는 그중에서 418명에 대해서만 배보상금을 지급하고 나머지 92% 4,669명에 대해서는 배보상하지 않고 있다."라고 옥시의 무책임함을 지적했습니다. " 2022년에 배보상을 위한 피해구제조정안이 나왔지만 옥시가 조정에 필요한 기금의 52%를 부담하지 못한다며 거부해 3년째 이행되지 못하고 있다. 피해구제인정자 10명중 9명이 옥시사용자인데 조정금 절반이 많다며 조정이행을 거부하는 건 무책임한 태도다. 옥시는 지금이라도 조정안 이행에 동의해 소비자를 위한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 "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옥시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하다 부인을 잃은 최주완 유족은 " 옥시는 제품 표면에 '아이에게도 안심'이라고 광고했다. 이 광고를 보고 많은 부모들이 아이를 위해 제품을 구입했고 결국 아이들이 죽었다. 2016년 검찰이 옥시 관계자를 수사할때 영국기업인 옥시의 외국인 임원은 단 한명도 수사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검찰이 핵심피의자인 전 옥시사장 거라브제인을 인터폴에 적색수배했는데 8년이 다되도록 국내 소환하지 않고 있다. 검사가 대통령이 되었지만 살인기업의 책임자를 국내로 소환해 처벌하지 않고 있다. 말이 안된다."라고 말했습니다. 


신세계 이마트의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하다 중증 폐질환이 발병해 12년동안 투병하던 부인을 잃은 김태종 유족은 " 이마트 가습기살균제의 성분은 SK케미칼이 만들어 공급했다. 전체 가습기살균제 시장의 86.1% 제품이 SK의 살균성분을 사용했다. SK는 최초의 가습기살균제를 만들었고, 3개의 제품을 제조판매했다. 옥시와 함께 가습기살균제 참사의 주범이다. SK의 전회장 최종현과 현회장 최태원 모두 가습기살균제 참사에 책임이 크다."라고 지적하며 "최근 최태원의 이혼소송을 보며 자신들이 만든 제품에 대해서도 제대로 책임을 지지 않더니 가정도 엉망인 재벌들의 모습을 보면서 한심하다는 생각이 들더라" 라고 말했습니다. 


이날 기자회견 참석자들은 " 가습기살균제 참사가 제대로 해결되지 않고 있는데 우리 사회가 관심을 갖지 않는다. 현정부가 무관심 한 것도 원인이다. 이제 막 출범한 22대 국회가 나서야 한다. 민생을 해결하라는 지난 총선때의 민심을 잊어서는 안된다. 22대 국회가 가습기살균제 참사를 제대로 해결해주기 바란다 "라고 강조했습니다.  


기자회견문 아래 클릭 

http://eco-health.org/bbs/board.php?bo_table=sub02_02&wr_id=1237 


내용문의: 최예용 소장 010-3458-7488


 3ad81a9eafe300134031eeac9a93159d_1718767956_6951.jpg
 <사진, 2024년 6월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보건시민센터에서 열린 가습기살균제 피해대책촉구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이 옥시와 SK의 책임을 촉구하는 손펼침막을 들고 있다. > 3ad81a9eafe300134031eeac9a93159d_1718767969_7778.jpg
 <사진, 2024년 6월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보건시민센터에서 열린 가습기살균제 피해대책촉구 기자회견에서 서울환경연합 이민호 활동가가 피해실태를 발표하고 있다. > 3ad81a9eafe300134031eeac9a93159d_1718768003_9313.jpg
 <사진, 2024년 6월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보건시민센터에서 열린 가습기살균제 피해대책촉구 가족피해자 채경선씨가 22대 국회가 해야할일을 발표하고 있다. > 3ad81a9eafe300134031eeac9a93159d_1718768009_4099.jpg
 <사진, 2024년 6월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보건시민센터에서 열린 가습기살균제 피해대책촉구 기자회견에서 최예용 소장이 가습기살균제 해결방향을 발표하고 있다. > 3ad81a9eafe300134031eeac9a93159d_1718768024_4779.jpg
 
 <사진, 2024년 6월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환경보건시민센터에서 열린 가습기살균제 피해대책촉구 기자회견에서 가습기살균제로 부인을 잃은 유족들이 가해기업의 책임을 촉구하고 22대 국회가 적극 나설 것을 요구하고 있다. > 

 

0 Comments
시민환경보건센터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