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회견 취재요청] 이재명정부에바란다 5: 라돈침대 사용피해자 역학조사하고 피해구제하라
환경보건시민센터 기자회견 안내 보도자료 2025년 7월3일
계엄내란을 막아낸 국민이 뽑은 이재명 정부에 바란다
Wishes for the LEE Jaemyung Administration
환경이 건강해야 몸도 건강하다
주요 환경보건 민생이슈 해결위한 연속 제안
매주 화요일 광화문광장 기자회견 통해 해결촉구
환경보건 민생해결 제안 1. 가습기살균제 참사 이렇게 해결하자
환경보건 민생해결 제안 2. 후쿠시마 핵폐수 해양투기 중단시켜라
환경보건 민생해결 제안 3. 석면문제 이렇게 해결하자
환경보건 민생해결 제안 4. 영풍석포제련소 폐쇄하고 백두대간과 낙동강을 지켜내자
환경보건 민생해결 제안 5. 라돈침대 사용피해자 역학조사하고 피해구제하라
이재명 정부에 바란다 5:
제안1) 대진라돈침대 사용피해자 건강영향 역학조사하라
제안2) 라돈침대 피해자 구제대책 마련하라
제목: 이재명 정부에 바란다 5: 대진라돈침대 사용피해자 건강피해 역학조사하고 피해구제하라
일시: 2025년 7월8일 화요일 오전11시30분
장소: 광화문 이순신상 앞
참석자:
- 백도명 서울대 명예교수 (직업환경의학 전문의)
- 정혁상 대진라돈침대 피해유족 (20대 딸 사망)
- 김태현 변호사 (민사소송 원고대리인)
- 그외
주최: 환경보건시민센터(Eco-Health), 라돈침대피해자모임, 경기환경운동연합, 서울환경운동연합, 환경보건전국네트워크, 가습기살균제피해자와유족, 한국석면추방네트워크, 아시아모니터리소스센터(AMRC), 아시아직업환경피해자권리네트워크(ANROEV) 등
문의: 최예용 소장 010-3458-7488
당초 대진침대 피해자 민사소송은 여러 그룹으로 나뉘어 모두 5천명이 참여했다. 이중 7월3일 대법원의 위자료 지급 판결에 관련된 5개 사건의 원고는 600명이다. 나머지 소송들은 그동안 고등법원에서 계류 중이었는데 앞으로 모두 같은 내용으로 결과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피해자들을 대리해온 김태현 변호사는 "이번 판결은 반쪽짜리 승리라고 할 수 있다. 처음 원고들은 위자료 1천만원과 질병문제도 같이 제기했었다. 그런데 1심에서 패소하면서 위자료를 100만원으로 낮추고 질병문제를 뺐다. 다행히 2심에서 위자료 100만원이 받아들여져 이번에 대법에서 확정했지만 너무 아쉽다. 앞으로 정부차원에서 질병피해를 조사한다면 그 결과를 갖고 질병피해에 대한 법적 책임을 본격적으로 다룰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라돈침대 사건은, 7년전인 2018년 5월3일 대진침대가 음이온방출을 이유로 방사성물질이자 1군 발암물질인 라돈이 방출되는 물질을 침대에 넣어 제작했다는 사실을 SBS가 보도하면서 알려졌다. 대진침대 측은 2005년부터 2018년까지 13년여 동안 29개 종류의 매트리스 제품 10만여개를 만들어 팔면서 라돈물질을 넣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원자력안전위원회가 29개 제품의 라돈 방사선 피폭선량을 조사해 발표했고, 문재인정부는 우체국 택배 등을 통해 긴급히 제품을 모두 수거하는 조처를 취했다. 라돈침대 사건은 '제2의 가습기살균제 사건'으로 불리며 라돈침대 사용자들에게 암 등 건강피해 발생이 우려되었지만 건강피해 역학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지금도 수거된 라돈침대 수만개가 천안의 대진침대 창고부지에 쌓여 방치되어 있다.
라돈침대 사용자들은 여러그룹으로 나뉘어 피해조사를 요구하면서 민형사 소송을 제기했다. 형사 재판은 대진침대측의 유죄를 인정하지 않았다. 민사재판의 경우 1심은 '대진이 침대를 제작할 시기에 방사성물질을 원료로 사용하는 가공제품 규제 법령이 없었다'는 이유로 원고 패소로 판결했다.
그러나 2심은 '라돈은 세계보건기구가 지정한 1군 발암물질로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사용하거나 사용이 제한되어야 한다. 특히 침대 매트리스와 같이 일상 주거용품에서는 안전 원칙이 더욱 엄격하게 적용돼야하고, 명문 관리규정이 없다고해서 사용이 허용되는 것은 아니다'고 판단하며 원고 일부 승소로 판결했다. 2심 재판부는 '저선량 방사능 노출의 신체피해는 장기간에 걸쳐 이뤄지므로 당장 피해가 발현되지 않았다고해서 부당한 피폭으로 인한 정신적 손해까지 없다고 할 수 없다'며 위자료 100만원을 인정했다. 대법원은 오늘 2심 판결에 잘못이 없다며 상고를 기각했다.
환경보건시민센터와 서울대 백도명 교수는 일부 라돈침대 사용신고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일반인구에 비해 라돈침대 사용자들의 평균 연령이 낮지만 폐암의 경우 비례유병비(PPR)가 남자 5.9배 여자 3.5배 높고, 백혈병의 경우 남자 5.3배 여자 5.1배 높다고 조사되었다. 피해자들은 180여명의 사용자들에게 암이 발병되었다며 관련성 조사를 요구해왔다.
이재명 대통령은 '제2의 가습기살균제 사건'인 라돈침대 문제에 대해 경기지사 시절에 보여줬던 높은 관심과 대책요구를 환기하고, 이제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문제해결에 나서야 한다.
환경보건시민센터 (Eco-Health)
[이재명 정부에 바란다] 환경보건분야 시리즈 정책제안 일정
이후 일정
7월8화 오전11시30분 [이재명 정부에 바란다 5: 라돈침대 건강피해 역학조사하라] 장소 광화문 이순신상앞
7월15화 오전11시30분 [이재명 정부에 바란다 6: 핵안전이 최우선이다] 장소 광화문 이순신상앞
7월22화 오전11시30분 [이재명 정부에 바란다 7: LG화학인도참사 책임묻고 재방방지 제도만들자] 장소 광화문 이순신상앞
7월29화 오전11시30분 [이재명 정부에 바란다 8: 어린이제품 사전안전제도 만들자] 장소 광화문 이순신상앞
이전 일정 및 내용 (클릭)
6월10화 [이재명 정부에 바란다 1: 가습기살균제 참사 이렇게 해결하자]
6월17화 [이재명 정부에 바란다 2: 후쿠시마 핵폐수 해양투기 중단시켜라]
6월24화 [이재명 정부에 바란다 3: 석면위험없는 대한민국, 국가플란 추진하자]
7월1화 [이재명 정부에 바란다 4: 영풍석포제련소 영구 폐쇄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