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회견] LG화학 인도공장 발암물질 스티렌탱크폭발참사 5주기, LG화학은 인도피해주민에게 배상하라

성명서 및 보도자료
홈 > 정보마당 > 성명서 및 보도자료
성명서 및 보도자료

[기자회견] LG화학 인도공장 발암물질 스티렌탱크폭발참사 5주기, LG화학은 인도피해주민에게 배상하라

관리자 0 683

2038500084_jDrSGYVf_186c9ed47a17e6c5da972f52c019d0adad70700d.jpg
 

2038500084_cRVb3DgT_b80065ab75461ca9209193633f961ee3e9f25b3a.JPG
 


환경보건시민센터 보도자료 2025년 4월30일자 


LG화학 인도공장 발암물질 스티렌 818톤 누출 참사발생 5년째

 LG화학은 인도피해주민에 배상하라! 


2020년 5월7일 새벽 LG화학 인도 안드라 프라데시주 비샤카파트남 공장 

LG Polymers India의 안전관리 미흡으로 

M6 탱크에서 발암물질(WHO Group2A) 및 독가스 스티렌(styrene) 818톤 누출사고로

참사당일에만 주민12명사망, 500명 병원입원, 2만명 가스노출로 대피했던 대참사 


이후 5년간 20여명 추가사망 확인, 많은 주민들이 심각한 후유증으로 고통받지만

LG화학은 소송을 핑계로 단 한 명도 배보상 하지 않아 
 

2023년과 2024년 한국환경단체와 아시아시민사회네트워크의 현지피해조사와 

2024년 5월 MBC의 국내언론최초 현지취재 및 3회연속 뉴스보도 직후 

LG화학 서울본사의 대표 및 환경,대외협력 담당 임원들 참사발생 4년만에 인도 현지방문

피해가족에 일회성 생활지원금 지급 및 재단설립 


 2023년 5월 아시아 10개국가 시민단체회원 120여명 

태국서 국제회의와 주태국 한국대사관 앞에서 집회 갖고 LG책임 촉구 


2023년 5월 환경보건시민센터, 아시아직업환경피해자권리네트워크 

인도 현지 찾아 주민 253명 건강피해조사 실시

11명 추가사망, 호흡기질환 외상후후유증(PTSD)등 만성질환 심각확인 

2024년 5월에는 인도의료진과 공동으로 피해주민 호흡기능검사 및 PTSD검사 진행


 5 years,

Justice for LG Vizag India Victims



제목: LG화학 인도공장 발암물질 스티렌탱크폭발참사 5주기, LG화학 책임촉구 기자회견 

일시: 2025년 5월7일 수요일 오전11시 
장소: LG광화문빌딩 앞 (서울 종로구 새문안로 58) 
 

참석자: 
서울대학교 백도명 명예교수, 주최단체 활동가 및 직업 및 환경피해자(가습기살균제 유족 김홍석, 유족 민수연, 삼성반도체 희귀질환피해자 정향숙) 등 15명
 

주최: 환경보건시민센터, 가습기살균제참사피해자와유족, 서울환경운동연합, 환경운동연합, 기업과인권네트워크, 반도체노동자의인권지킴이반올림, 한국석면추방네트워크, 환경보건전국네트워크, 아시아직업환경피해자권리네트워크(ANROEV), 아시아모니터리소스센터(AMRC) 등 


프로그램: 
- 기자회견 배경 및 인도현지 5주기 추모활동 소개: 

- 사망자 추모 및 투병피해자 쾌유위한 묵념 및 참사 사망자 소개: 
- 2023년&2024년 현지피해주민 조사결과 소개: 백도명 서울대명예교수 
- 기자회견문 발표: 


* 인도 현지(안드라프라데시주 비샤카파트남시 벤카타프롬) 에서는 이날 오후6시부터 피해주민 100명 이상이 참여하는 희생자 추모 및 LG 책임촉구 촛불시위가 마을에서부터 LG화학 인도공장 앞까지 진행됩니다. 

 

내용문의: 최예용 소장 010-3458-7488 


기자회견 사진은 아래 클릭하세요 

http://www.eco-health.org/bbs/board.php?bo_table=sub09_04&wr_id=513


기/자/회/견/문


LG화학 인도참사 5주기 


아직도 인도피해주민 단 한 명도 배상하지 않고 있는 LG


피해주민들 지난 1월 첫 LG참사 피해사진전시회 열고

사망자 추모하고, 고통받는 피해자 쾌유 빌며, LG의 책임촉구


환경보건시민센터가 인도피해주민대책위와 함께 

참사 이후 5년간 참사 영향 가장 큰 레드존 구역의 

사망주민 118명 명단확보해 LG참사와의 관련성 분석 중


LG공장에서 누출된 818톤의 스티렌 가스노출로 인한 건강피해영향으로 

주민들 추가사망, 조기사망 이어지고 있을 가능성 있어 


참사당일 사망해 인도 주정부가 배상한 12명 외에 

환경보건시민센터의 2023 & 2024년 현지조사로 13명 추가사망자 확인 


앞으로 발암물질 노출로 인한 암피해도 발생할 가능성 높아


 LG는 소송 핑계대지 말고 이제라도 개별 피해자들에게 배상하고, 

사망주민들에 대한 관련성조사 및 주민건강피해지원과 암발생 모니터링 진행해야


6월 대선으로 출범할 새정부는

한국기업 해외사업체의 유사참사방지와 사고책임 묻는 제도적 장치 마련해 

한국기업과 한국정부의 실질적인 글로벌 위상 높여야 



5년전인 2020년 5월7일 새벽2시경부터 LG화학의 인도공장 LG Polymers India의 M6탱크에서 발암물질 스티렌 가스 818톤이 누출되었다. 코로나19로 통제된 상황에서 냉각장치 등 안전조치 소홀로 탱크내의 반응이 폭주하는 사고가 발생했는데 LG측은 인근마을에 사고를 알리고 대피할 수 있도록 비상사이렌을 울리는 기본적인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사고 당일에만 12명이 사망하고 585명이 병원에 입원했으며 2만명이 일주일여간 대피하는 대참사가 벌어졌다. 대규모 인명피해와 더불어 가축폐사, 농작물피해, 식수오염 등 환경피해가 공장으로부터 반경 5km 넘어까지 이어졌다.  


2020년 LG인도참사는 즉각적으로 1984년 인도 보팔참사를 떠올리게 했다. 경제선진국의 화학기업이 공해공장을 인도의 인구가 밀집한 지역에서 안전조치를 미흡하고 허술하게 가동하다 주민들이 잠든 새벽에 독가스가 대량 누출하는 사고를 일으켜 많은 인명피해를 일으켰는데 피해주민들에 대한 제대로 된 책임을 지지 않았다는 점 등 여러 면에서 비슷했다. 이 때문에 2020년 LG인도참사는 ‘제2의 보팔참사’라고 불리며 국제사회의 비난을 받고 있다.   


LG인도참사가 발생한지 5년이 지나고 있지만, LG는 단 한 명의 인도피해주민에게도 배상하지 않고 있다. 인도정부 및 피해자 등이 제기한 법적 소송이 진행중이기 때문이라는 게 LG가 내세우는 이유다. 


인도정부는 5년전 참사 발생직후 중앙정부와 주정부 합동으로 사고조사전문가위원회(High Power Committee)를 구성해 사고경위를 조사했다. 조사위원회는 저장탱크 설계불량, 냉각장치 결함, 안전규범 불량, 안전의식 미비 등 수십여 가지의 인적, 물적인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얽힌 문제임을 밝혀냈다. 조사위원회는 공장출입문 등 36곳에 설치된 경보장치 조차 작동하지 않은 사실도 밝혀냈다(High Power Committee Report). 안드라 프라데시 주정부는 2020년 사고이후 사망자 12명과 입원치료자 585명에게 위자료를 지급하고 2만명의 대피주민들에게 식료품 구입 구호금을 1회 지급한 바 있다. 


사고 직후 LG화학은 사과문을 발표하고 주민 건강과 안전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며 사고수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회사의 약속은 사고발생 5년이 지나도록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 


LG인도공장의 한국인과 인도인 임직원들이 구속되었다가 보석으로 석방되어 형사재판이 진행중이고 그외 여러 건의 민형사 재판이 진행중이지만 재판진행이 매우 더뎌서 재판을 통한 가해자처벌과 피해자구제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2024년 5월중순 참사발생 4년째에야 한국 언론으로는 처음으로 MBC가 인도 사고 현장을 취재해 3일 연속 뉴스를 보도했다. 그러자 신학철부회장을 포함한 LG화학의 서울본사 임원들은 사고발생 4년이 지난 2024년 5월말에야 처음으로 인도 사고지역을 찾았고 피해주민 지원대책을 내놨는데, 100억원규모의 피해주민 생활지원금과 100억원 규모의 재단을 설립해 병원치료 등을 지원하겠다는 것이었지만 2만여명의 피해주민들에게는 일시적인 지원이었을 뿐이고 개별 피해자들에 대한 배상은 포함되지 않았다.    


2024년 12월3일 인도보팔참사 40주기를 맞아 LG인도참사 주민들이 보팔을 방문해 보팔참사 피해주민들과 연대했다. 참사발생 40년이 지났지만 보팔참사를 일으킨 미국기업 다우케미칼(참사당시 유니언 카바이드)과 인도정부의 책임을 촉구하는 재판이 진행중이었고, 참사현장은 40년째 방치되어 유독폐수가 지하수를 광범위하게 오염시켜 많은 기형아 출생 등 건강피해와 환경오염이 진행되고 있었다. 

 

LG화학 피해주민들은 2025년 1월 26일 참사발생 이후 처음으로 <LG참사 피해사진전시회>를 개최했다. 이 전시회에는 5년전 참사현장 사진과 이후 피해대책을 촉구해온 활동 그리고 한국 등 아시아 시민사회의 지원활동과 보팔참사 주민들과의 연대활동의 기록들이 포함됐다. LG화학 측은 이 전시회 개최를 취소하라며 주민대책위원회를 협박했다. 그러나 비샤카파트남 시가 전시장 부지조성 등 적극 후원했고 수천명의 피해주민은 물론이고 주의회 국회의원 등이 참여해 LG참사를 기억하고 사망자 추모 유족과 투병자 지원에 대한 LG의 피해대책을 촉구했다.


환경보건시민센터 등 한국시민사회와 30여 아시아국가 시민사회로 구성된 ‘아시아직업환경피해자권리네트워크 ANROEV’는 5년전 LG인도참사 발생 직후부터 온오프라인을 통해 참사를 알리고 인도 현지 피해주민을 위한 활동을 전개해왔다. 


2023년과 2024년에는 3차례 인도피해현장과 보팔참사현장을 방문해 피해주민들과 교류하고 주민건강피해조사를 진행했다. 주민설문조사, 폐기능검사 및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검사를 인도의료진과 공동으로 진행해 심각한 후유증이 계속되고 있음을 파악했고 조만간 학술적으로 보고될 예정이다. 


LG 인도참사 5년째를 맞아 인도피해주민대책위가 확보한 참사 영향이 가장 큰 레드존(반경 715m 이내 구역의 Red zone)에서의 참사 이후 5년간 주민사망자 118명의 명단확보해 LG참사와의 관련성을 조사하고 있다. 상당수 주민사망이 LG공장에서 누출된 818톤의 스티렌 가스노출로 인한 후유증 등으로 인한 추가사망 및 조기사망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다.  


환경보건시민센터는 서울대 백도명 명예교수와 함께 2023년과 2024년 현지조사를 통해 5년전 참사당일 사망해 인도 주정부가 위로금을 지급한 12명 이외에 13명의 추가사망자를 확인한 바 있는데, 더 많은 관련 사망이 이어지고 있을 가능성이 우려된다. 


두 차례 인도 현장조사를 진행한 백도명 교수는 “인도정부가 사건 초기 스티렌 노출주민의 급성피해에 대해 일회적인 조사 및 지원만 하고 이후 지속적 건강영향에 대한 후속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 LG는 일회적 조사 조차도 하지 않았다. 이런 환경 및 산업참사의 경우 의학적 피해가 중요하지만 의학적 관련성이 분명하게 밝혀지지 않더라도 많은 피해자들이 가족을 잃고 장기적으로 투병하거나 경제적인 어려움에 처한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이들에 대한 사회경제적인 피해지원을 지속해 피해주민들의 건강과 생활이 회복되도록 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앞으로 추가적인 사망피해 우려 외에도 스티렌이 세계보건기구가 지정한 Group2A 발암물질이어서 가스노출 주민들에게 폐암 등 암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크다. 


LG인도참사 5주기를 맞아 다음과 같이 문제를 해결할 것으로 촉구한다. 
 

첫째, 주민들의 건강피해는 일시적이며 가역적인 것이 아니라, 지속적이며 일정 수준 이상에서 회복되지 못하고 사망에 이를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LG는 이에 대한 체계적인 파악과 그에 근거한 피해지원이 수립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특히 피해 파악과 지원은 의료캠프 등 임의적인 행사위주가 아니라, 모든 주민들의 등록과 호소되는 문제에 대한 지속적인 파악을 통해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모든 과정에 주민들 대표의 참여가 반드시 필요하다. 


둘째, LG는 소송에 기대어 피해회복의 지연 핑계를 댈 것이 아니라, 인도 지역사회에서 개별 인도주민 피해자들이 참사로 인하여 증세가 지속되고 악화되어 결국 사망에까지 이르기 전에 피해를 배상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한국기업 해외사업체는 국내 안전보건환경 잣대와 똑 같은 해외 안전보건환경 잣대를 갖추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야 한다. 6월 대선으로 출범할 새정부가 이러한 일에 앞장서 한국기업과 한국정부의 실질적인 글로벌 위상을 높일 것을 기대한다.



2025년 5월 7일 


LG화학 인도참사 5주기를 맞아 

한국시민사회단체 및 아시아직업환경피해자권리네트워크


2038500084_ZWuTwsyU_2c103bd9d56409d57f69748632d6dc6144b6d635.jpeg


Press conference


5th anniversary of LG Chemical India disaster


LG still has not compensated a single Indian victim


Victims held the first LG disaster photo exhibition in January


Memorializing the deceased, praying for the speedy recovery of the suffering victims, and demanding LG's responsibility


Environmental Health Citizens' Center, together with the Indian Victims' Countermeasures Committee


Securing a list of 118 deceased residents in the red zone area most affected by the disaster over the past 5 years since the disaster


Analyz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LG disaster


Possibility of additional deaths and premature deaths among residents due to health damage caused by exposure to 818 tons of styrene gas leaked from the LG plant


In addition to the 12 people who died on the day of the disaster and were compensated by the Indian state government


13 additional deaths confirmed through on-site investigations by the Environmental Health Citizens' Center in 2023 and 2024


In the futur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cancer damage due to exposure to carcinogens will occur.


LG should stop making excuses for lawsuits and immediately compensate the individual victims,


and conduct investigations into the relevance of the deceased residents, support for residents' health damage, and monitor cancer occurrence.


The new government, which will be launched after the June presidential election,


should establish institutional measures to prevent similar disasters and hold Korean companies responsible for accidents overseas,


and raise the actual global status of Korean companies and the Korean government.


On May 7, 2020, five years ago, 818 tons of carcinogen styrene gas leaked from the M6 ​​tank of LG Polymers India, LG Chem's Indian plant, starting at around 2:00 AM. In a situation controlled by COVID-19, the tank's reaction ran wild due to negligence in safety measures such as cooling equipment, but LG did not even take the basic measure of sounding an emergency siren to notify nearby villages of the accident and allow them to evacuate. As a result, a major disaster occurred on the day of the accident, with 12 people dying, 585 hospitalized, and 20,000 people evacuated for a week. In addition to the large-scale casualties, environmental damage such as livestock deaths, crop damage, and drinking water contamination continued beyond a 5km radius from the factory.


The 2020 LG India disaster immediately brought to mind the 1984 Bhopal disaster in India. It was similar in many ways, such as the fact that a chemical company from an economically advanced country operated a polluting plant in a densely populated area of ​​India with inadequate safety measures and lax operation, causing a large-scale toxic gas leak in the early morning while residents were asleep, resulting in many casualties, and failing to take proper responsibility for the victims. For this reason, the 2020 LG India disaster is being criticiz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the ‘second Bhopal disaster.’


Five years have passed since the LG India disaster, but LG has not compensated a single Indian victim. LG claims this is because legal proceedings filed by the Indian government and victims are ongoing.


The Indian government formed a joint accident investigation expert committee (High Power Committee) with the central and state governments immediately after the accident five years ago to investigate the cause of the accident. The investigation committee found that dozens of human and material problems were complexly intertwined, including poor storage tank design, defective cooling equipment, poor safety standards, and lack of safety awareness. The investigation committee also found that even the alarm devices installed at 36 locations, including the factory entrance doors, did not work (High Power Committee Report). The Andhra Pradesh government paid compensation to the 12 people who died and 585 people who were hospitalized after the accident in 2020, and provided a one-time food purchase relief fund to 20,000 evacuees.


Immediately after the accident, LG Chem issued an apology and promised to put the health and safety of residents first and do its best to recover from the accident. However, the company's promise has not been properly kept even after five years since the accident.


Korean and Indian executives of LG India plant were arrested and then released on bail, and criminal trials are in progress, and several other civil and criminal trials are in progress, but the trial progress is very slow, making it difficult to expect punishment of the perpetrators and relief for the victims through trials.


It was not until mid-May 2024, four years after the disaster, that MBC, the first Korean media outlet, covered the accident site in India and reported the news for three consecutive days. Then, LG Chem's Seoul headquarters executives, including Vice Chairman Shin Hak-cheol, visited the accident site in India for the first time in late May 2024, four years after the accident, and came up with a plan to support the victims. They said they would provide 10 billion won in living expenses for the victims and establish a 10 billion won foundation to support hospital treatment, but this was only temporary support for the 20,000 or so victims, and did not include compensation for individual victims.


On December 3, 2024, the 40th anniversary of the Bhopal disaster in India, LG India disaster victims visited Bhopal and showed solidarity with the victims. 40 years after the disaster, a trial was underway demanding responsibility from the American company Dow Chemical (Union Carbide at the time of the disaster) and the Indian government, and the disaster site had been left unattended for 40 years, causing extensive groundwater contamination with toxic wastewater, resulting in many birth defects and other health problem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On January 26, 2025, LG Chemical victims held the <LG Disaster Damage Photo Exhibition> for the first time since the disaster. The exhibition included photos of the disaster site five years ago, activities calling for damage relief measures since then, and records of support activities by Asian civil society groups including Korea and solidarity activities with the Bhopal disaster victims. LG Chemical threatened the residents' countermeasures committee to cancel the exhibition. However, the city of Visakhapatnam actively supported the construction of the exhibition hall site, and thousands of victims as well as state legislators participated to remember the LG disaster and urge LG to take measures to support the bereaved families and patients.


The Asian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Victims' Rights Network (ANROEV), which consists of Korean civil society groups such as the Environmental Health Citizens' Center and civil societies from about 30 Asian countries, has been publicizing the disaster online and offline and carrying out activities for the victims in India since the LG India disaster occurred five years ago.


In 2023 and 2024, they visited the disaster site in India and the Bhopal disaster site three times to interact with the victims and conduct a survey on the health of the residents. They conducted a resident survey, pulmonary function test,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test in collaboration with Indian medical staff to determine that serious aftereffects are continuing, and this will be reported academically soon.


As the 5th anniversary of the LG India disaster approaches, the Indian Disaster Response Committee has secured a list of 118 residents who died in the red zone (the area within a 715m radius) where the disaster had the greatest impact, and is investigating their relationship to the LG disaster. This is to determine whether many of the residents who died were additional deaths or premature deaths due to aftereffects of exposure to the 818 tons of styrene gas leaked from the LG plant.


The Environmental Health Citizens' Center, together with Professor Emeritus Baek Do-myeong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confirmed 13 additional deaths in addition to the 12 who died on the day of the disaster 5 years ago and for whom the Indian state government paid consolation money through on-site investigations in 2023 and 2024. There are concerns that more related deaths may be continuing.


Professor Baek Do-myeong, who conducted two on-site investigations in India, said, “The Indian government only conducted a one-time investigation and provided support for the acute damage suffered by residents exposed to styrene in the early stages of the incident, and has not taken any follow-up measures for the ongoing health effects. LG did not even conduct a one-time investigation. In the case of such environmental and industrial disasters, medical damage is important, but even if the medical relevance is not clearly identified,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many victims have lost their families, suffered long-term illnesses, or faced economic difficulties, and continue to provide socioeconomic support for these victims so that their health and lives can be restored.”


In addition to concerns about additional deaths in the future, there is a high risk that residents exposed to the gas will develop lung cancer and other cancers, as styrene is a Group 2A carcinogen designat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On the 5th anniversary of the LG India disaster, we urge the following solutions to address the issues:


First, the health damage to residents is not temporary and reversible, but is estimated to be ongoing and not recoverable beyond a certain level, leading to death. LG should systematically understand this and establish support for the victims based on it. In particular, the understanding and support for the victims should not be based on arbitrary events such as medical camps, but should be achieved through continuous understanding of all residents’ registration and complaints, and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representatives in all these processes is essential.


Second, LG should not rely on lawsuits to make excuses for delaying recovery, but should ensure that individual Indian victims in the Indian community can receive compensation for the damages before the disaster causes symptoms to persist and worsen, ultimately leading to death.


Third, institutional measures should be established to ensure that Korean companies’ overseas operations have the same safety, health, and environment standards as domestic ones. We expect the new government, which will be launched after the June presidential election, to take the lead in this effort and raise the actual global status of Korean companies and the Korean government.


May 7, 2025


On the 5th anniversary of the LG Chem India disaster


Korean Civil Society Organizations and Asian Occupational Environment Victims’ Rights Network



0 Comments
시민환경보건센터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