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사신-초미세먼지의 습격

초미세먼지(PM2.5)대기오염
홈 > Hot Issue > 초미세먼지(PM2.5)대기오염
초미세먼지(PM2.5)대기오염

죽음의 사신-초미세먼지의 습격

최예용 0 8099

기사입력 2013-04-01 15:54

[주간동아]

 

1월 한때 서울시내 초미세먼지(PM 2.5) 농도가 139㎍/㎥까지 치솟은 사실이 드러났다. 서울 보건환경연구원이 1월 13일 오후 3시 서울 동작구에서 측정한 수치다. 초미세먼지는 대기 중에 떠다니는 직경 2.5㎛(1/1000mm) 이하 입자를 가리키는 말. 굵기가 머리카락 1/30 수준인 이 물질은 코와 기관지 등이 거르지 못하기 때문에 폐까지 도달해 건강에 심각한 위험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혈액에 침투하면 심혈관계 질병을 유발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 때문에 세계보건기구(WHO)는 대기 중 초미세먼지 농도를 24시간 평균 25㎍/㎥, 연평균 10㎍/㎥ 이하로 유지할 것을 권고한다. 그러나 서울 동작구에서 139㎍/㎥가 측정된 날 서울시내 24시간 평균 초미세먼지 농도는 83㎍/㎥에 달했다. WHO 권고 기준을 3배 이상 넘은 셈이다. c31c4e083d63b8f3e9f3550b0b1e68bc_1414497618_7278.jpg 

 

아무 정보 없이 위험에 노출

더 큰 문제는 이날 서울 대기 질이 이토록 나쁜 것을 국민 대다수가 알지 못했다는 점이다.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은 지역별 초미세먼지 농도 측정 결과를 공개한다. 수치가 24시간 평균 35㎍/㎥을 넘어설 경우 경보를 울려 시민에게 주의도 준다. 우리나라의 ‘황사경보’와 같은 방식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아직 관련 준비가 미비하다는 이유로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 국립환경과학원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그동안 미세먼지(PM 10·직경 10㎛ 이하 입자)를 기준으로 대기오염도를 측정해왔기 때문에 현재는 초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할 기술과 장비가 크게 부족하다. 예산을 확충해 2015년 1월 1일부터 24시간 평균 50㎍/㎥, 연평균 25㎍/㎥ 기준에 따라 초미세먼지에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때까지 서울시민은 아무 정보 없이 고농도의 초미세먼지 공기를 들이마셔야 하는 셈이다.

 

c31c4e083d63b8f3e9f3550b0b1e68bc_1414497636_5205.jpg

 

서울시도 관내 25개구 전체와 강변로, 내부순환로, 동작대로 등 주요 도로변에 초미세먼지 측정 장비를 두고 이미 측정을 시작했지만, 결과를 실시간 공개하지는 않는다. 시내 13곳에 설치한 대기오염 전광판에는 미세먼지, 오존,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아황산가스 수치만 게시한다.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대기측정관리팀 한교문 팀장은 “아직 초미세먼지에 대한 정부의 공식 대응이 시작되지 않은 상태라 2015년 정책 시행에 맞춰 준비하는 것으로 보면 된다”며 “정부가 어떤 수준의 측정을 요구하는지 등 기준을 정해주지 않는 상황에서 우리가 자체적으로 만든 결과를 바탕으로 경보 등을 발령하는 건 조심스러운 면이 있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측정 결과를 ‘대기월보’ 형태로 정리해 정책 개발 자료 등으로 활용하고 있다. 초미세먼지에 대해 공식적으로 대응하지 않는 것은 다른 지방자치단체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주간동아’가 2012년 1월부터 12월까지 발행된 서울시 ‘대기월보’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 대기 질은 생각보다 심각하다.

 

c31c4e083d63b8f3e9f3550b0b1e68bc_1414497655_2048.jpg

 

베이징과 서울의 농도 비교

2012년 서울시 연평균 초미세먼지 농도는 23㎍/㎥. 지난 1월 초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된 양천구의 경우 2012년 평균치가 29㎍/㎥에 달했다. WHO 권고 기준의 3배에 이르고, 일본 기준의 1.5배 수준이다. 성북구(20㎍/㎥)는 상대적으로 초미세먼지 농도가 낮았지만, 역시 WHO와 선진국 기준에는 미치지 못했다.

2012년 서울시 월별 평균 초미세먼지 농도는 1월 35㎍/㎥, 2월 26㎍/㎥, 3월 24㎍/㎥, 4월 22㎍/㎥, 5월 26㎍/㎥, 6월 24㎍/㎥, 7월 18㎍/㎥, 8월 14㎍/㎥, 9월 16㎍/㎥, 10월 18㎍/㎥, 11월 24㎍/㎥, 12월 26㎍/㎥였다. 겨울에는 대기의 질이 떨어지고 여름에는 상대적으로 회복되는 셈이다. 김신도 서울시립대 환경공학부 교수는 이런 경향을 “에너지 사용량 증가가 초미세먼지 발생량을 늘리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초미세먼지가 난방, 발전, 자동차 매연 및 타이어 마모, 공사장 비산먼지, 노천 소각, 안개, 화재 등과 황사를 통해 발생한다고 말한다. 또 하나 눈여겨볼 것은 중국의 영향이다. 이승묵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가 2008년부터 2009년까지 서울과 강화도 두 곳에서 5분 단위로 대기 오염도를 연속 측정해 분석한 논문에 따르면, 우리나라 대기오염에서 중국의 영향은 약 60%에 이른다. 중국의 산업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대기오염 물질이 초미세먼지 형태로 한반도에 건너와 대기를 오염시킨다는 설명이다. 일본에서는 중국과 한국의 공업화가 본격화한 1980년대 후반부터 양국에서 건너온 초미세먼지에 의한 대기오염 문제를 연구했고 최근에는 일본 대기 내 초미세먼지 과반수가 중국에서 온 것으로 여긴다. 2월 일본 정부가 중국 측에 공식적으로 오염물질 배출 억제책을 강화해달라고 요구한 것은 이런 시각의 연장선에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아직 중국에 공식적으로 초미세먼지 감축을 요구한 적이 없다. 하지만 서울시 ‘대기월보’ 분석 결과, 중국발(發) 초미세먼지가 한반도 대기에 영향을 미치는 개연성이 드러났다. 1월 12~14일 서울과 베이징의 초미세먼지 농도 비교를 통해서다.

외신에 따르면, 중국 베이징의 초미세먼지 농도는 1월 12일 한때 993㎍/㎥까지 치솟았다. WHO 권고치의 40배에 달하던 수치는 이후 차츰 낮아졌지만 1월 14일에도 321㎍/㎥를 기록했다. 이때는 1월 1, 2일 각각 11㎍/㎥, 9㎍/㎥에 불과하던 서울의 초미세먼지 농도가 급격히 치솟은 시기이기도 하다. 12일 59㎍/㎥, 13일 83㎍/㎥, 14일 67㎍/㎥로 심각한 대기오염 상태가 일주일가량 이어졌다. 서울시 기후환경본부는 이에 대해 ‘중국에서 고농도 미세먼지가 유입됐을 개연성’을 제기했다. 또 기온 상승으로 눈이 녹으면서 다량으로 발생한 수증기가 연·박무를 형성해 미세먼지를 흡착한 것이 원인이 됐을 것이라는 분석도 했다.

 

WHO 권고치 6~8배 초과

c31c4e083d63b8f3e9f3550b0b1e68bc_1414497705_0161.jpg 

문제는 최근 들어 부쩍 잦아진 연무 또한 중국의 영향일 수 있다는 점이다. 기상청 발간 ‘기상연보’에 따르면 2002~2006년 연평균 12.2일에 불과하던 연무 관측 날짜는 2008~2011년 54.3일로 늘었다. 연무는 ‘맨눈으로 보이지 않는 극히 작고 건조한 고체입자가 대기 중에 떠다니는 현상’으로 주로 초미세먼지에 의해 발생한다.

어떤 이유에서든 초미세먼지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생각할 때 WHO 권고치를 6~8배 이상 초과하는 대기의 질이 지속되는 건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미국 암학회에 따르면, ㎥당 초미세먼지가 10㎍ 증가할 때마다 전체 사망률은 7%, 심혈관·호흡기 질환 사망률은 12% 높아진다. 임종한 인하대 직업환경의학과 교수도 “초미세먼지 노출과 심혈관계 질환, 사망은 확실한 인과관계가 있다”고 잘라 말했다.

임 교수에 따르면, 초미세먼지의 24시간 평균 농도가 7~18㎍/㎥ 수준인 지역에서 농도가 10㎍/㎥ 증가할 때마다 심혈관계 질환 위험은 0.5~3.4%씩 높아진다. 또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가 12.8 ㎍/㎥ 이상인 지역의 경우 호흡기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이 1.67~2.20% 범위로 증가하는 것이 확인됐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도 더 늦기 전에 대기 중 초미세먼지 감축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3~5월 본격적인 황사철을 앞두고 시민의 공포가 높아지고 있다.

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은 “중국 대기오염이 동북아 생태계를 위협하는 만큼 한중일 환경 장관 긴급회의를 소집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동종인 서울시립대 환경공학과 교수도 “초미세먼지에 대한 세계적인 위기의식에 비해 우리 정부는 지나치게 안이하게 대처한다. 2015년부터 적용하겠다는 초미세먼지 기준도 세계 기준과 큰 차이가 난다. 더 늦기 전에 국민 불안을 해소할 정책을 내놓아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0 Comments
시민환경보건센터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