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단체 ‘옥시·애경’ 범국민 불매 운동…“반사회적 기업 방치 안돼”

환경보건시민센터 활동 언론보도
홈 > 정보마당 > 환경보건시민센터 활동 언론보도
환경보건시민센터 활동 언론보도

[세계일보]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단체 ‘옥시·애경’ 범국민 불매 운동…“반사회적 기업 방치 안돼”

관리자 0 1872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단체 ‘옥시·애경’ 범국민 불매 운동…“반사회적 기업 방치 안돼”

세계일보 2022.4.25
“반사회적 기업을 방치하면 제2의 가습기살균제 참사가 발생할 것”
대형할인마트 앞에서 피케팅을 진행할 방침
25일 서울 종로구 교보빌딩 앞에서 불매운동 선포식을 연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단체. 연합뉴스 

 


가습기살균제 참사 11년 만에 마련된 피해조정안이 옥시레킷벤키저·애경산업 등 기업 측 반대로 사실상 무산되자 피해자단체가 두 기업 제품 불매운동에 나섰다.

 

환경보건시민센터 등 환경시민단체와 피해자단체들은 25일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를 위한 조정위원회’(조정위)가 입주한 서울 종로구 교보빌딩 앞에서 ‘옥시·애경 범국민 불매운동 선포식’을 열고 “피해 대책을 외면한 무책임한 옥시와 애경을 불매한다”고 밝혔다.

 

단체들은 “참사 10여 년 만에 피해조정안이 겨우 나왔는데도 전체 기업부담의 60% 이상을 책임져야 할 옥시와 애경이 조정안을 발로 차버렸다”며 “그런데도 이들은 환경보호·사회적 책임·공정한 지배구조를 뜻하는 ESG 경영을 앵무새처럼 되뇌며 소비자를 우롱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반사회적 기업을 방치하면 제2의 가습기살균제 참사가 발생할 것”이라며 “25일부터 두 기업에 대해 전국 50여 지역 143개 환경시민사회단체가 불매 캠페인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혜진 녹색소비자연대전국협의회 상임위원은 “11년만에 나온 조정안은 여전히 소비자를 기만하는 기업의 태도가 담겨있다”며 “오는 26일 여의도 옥시 본사 앞에서는 더 강력하게 소비자의 목소리를 낼 것”이라고 강하게 밝혔다.

 

지난 7일 오전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 앞에서 가습기살균제 참사 피해자 범단체 victims 투쟁본부가 가해기업과 조정위원회의 무책임한 태도를 지탄하는 상여행진을 하고 있다. 뉴시스 

 


단체가 꼽은 구체적인 불매 대상 제품은 옥시레킷벤키저의 손 세정제 ‘데톨’ 및 의약품 ‘개비스콘’·‘스트렙실’, 애경산업의 주방세제 ‘트리오’와 세탁세제 ‘스파크’ 등이다.

 

이들은 이날부터 각 지역 대형할인마트 앞에서 피케팅을 진행할 방침이다.

 

앞서 지난 11일 조정위는 광화문 변호사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당초 주도적으로 조정을 요청했던 일부 기업 측에서 조정안을 수용하지 않는 입장을 표명해 아쉽고 유감”이라고 밝혔다.

 

조정위는 “기업들의 부동의가 알려지면서 논의가 진전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조정위는 “조정금액의 60% 이상을 부담해야 하는 옥시와 애경이 부동의 함에 따라 조정안이 현실적으로 실행되기 어려운 상황이 되고 있다”며 “두 기업이 부동의 사유로 들고 있는 분담 비율과 관련, 기업들이 자율적으로 협의해 정리된 의견을 제출해 줄 것을 요청했지만 자체 협의가 어렵다는 이유로 응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가습기살균제참사전국네트워크 소속 회원들이 지난 지난 12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옥시RB 본사 앞에서 옥시RB 규탄 기자회견을 열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뉴시스 

 


옥시와 애경은 조정위가 내놓은 최종 조정안에 대한 부동의 의견을 조정위에 서면 제출했다. 옥시와 애경이 피해보상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61.35%로 절반이 넘는다. 참여 기업은 롯데쇼핑·애경산업·이마트·SK이노베이션·SK케미칼·LG생활건강·GS리테일·옥시레킷벤키저·홈플러스 등 9개 기업이다.

 

이에 조정위는 옥시 다음으로 피해구제법상 분담금 비율이 높은 SK이노베이션, SK케미칼 등 기업에 분담금 비율을 높일 수 있는지 의사를 타진했지만, 정해진 분담금 비율을 넘어서서는 부담할 수 없다는 답변이 기업들로부터 돌아왔다는 설명이다.

 

조정위는 “조정안이 이행되지 못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 돼 매우 송구스럽다”며 “곧바로 조정의 불성립을 판단하기 보다는 마지막까지 조정 성립을 위한 노력을 다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조정위 활동은 연장되지 않는 이상 오는 4월 말 종료된다.

 

한편, 조정위가 지난달 28일 내놓은 최종 조정안에는 피해자 유족에 최대 4억원, 고도 피해자들과 최중증(초고도) 피해자들은 연령에 따라 최대 4억여원과 5억여원을 지급하는 내용이 담겼다.


0 Comments
시민환경보건센터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