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아이 책소개"-푸른시냇물이 눈물처럼 흘러

"에코아이 책소개"-푸른시냇물이 눈물처럼 흘러

최예용 0 4544

강원 양양 산속에서 홀로 6년 자연 사색 결과물

다람쥐 때문에 밤 못 줍고, 개구리 때문에 길 못 가고…자연은 우리에게 뭘까

 


1.jpg

 

도시의 세파에 시달리던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시골에서 살아 봤으면”하는 꿈을 꾸었을 것이다. 짧은 여름 휴가나 여행을 통해 겉핥기로 자연을 맛보기라도 한다면 자연에 대한 아쉬움은 더욱 깊어진다.
 

그렇다면 몇 년쯤 인적 드문 산속에 작은 집을 지어놓고 홀로 텃밭을 일구며 자연을 생각하며 글을 쓰는 생활을 하면 어떨까. 막상 실천에 옮기려면 쉽지 않은 이런 결단을 내려 강원도 양양의 산골짝에 숨어든 수필가 고충녕씨가 6년여 동안의 사색의 결과물을 내놓았다.
 

 


2.jpg

한 스푼

고충녕 지음/ 어문학사/1만3000원

 

“차 한 잔 한숨 한 스푼, 술 한 잔 눈물 한 스푼’이란 부제가 달려있는 <한 스푼>을 읽노라면 자연으로 들어가려면 벗어놓아야 할 것이 많다는 걸 새삼 깨닫게 된다. 물건에 대한 욕심은 그 하나이다.
 

알밤에 관한 이런 일화가 있다. 자신의 밤이지만 그는 다람쥐가 겨울 식량으로 모두 비축한 다음에야 알밤을 조금 챙기는 소심한 농부이다. 그런데 오지에도 밤을 따가려는 사람이 종종 나타난다.
 


창밖에서 부르릉거리던 차량 엔진 소리가 이유도 없이 뚝 멈추거나 인적이 언뜻거리면 난 상황을 쉽게 짐작하고 천천히 채비를 한다.”(14~15쪽)
 

이런 상황이 닥치면 그는 미리 골라둔 알밤 한 되 가량을 비닐봉지에 담아 서리꾼을 맞는다. 두 명이면 두 봉지, 세 명이면 세 봉지. 소리 지르고 욕하는 것보다 이 방법이 그들의 양심을 되찾게 하는 지름길임을 그는 번번이 확인한다.
 

 

 


3.jpg

자연보전을 둘러싼 갈등이 심하다. 자연은 종종 목숨을 걸고 지켜야 하는 것이 된다. 악착같이 파괴하려 하고 결사적으로 지키려는 갈등이 적지 않게 일어난다. 이때 자연은 무슨 신앙처럼 절대적 가치를 지닌 것이거나 아무런 화폐가치를 지니지 않은 것처럼 취급받는다. 그가 한 농부와 벌인 어느 ‘갈등’에서 해법의 단서를 찾는다.
 

그는 개구리 울음소리를 좋아한다. 그래서 봄이면 논에서 꼬물거리는 올챙이를 관심 있게 들여다 본다. 그 논은 ‘이 서방’이란 농부의 것이다. 어느 여름, 그의 올챙이는 논에서 떼죽음할 처지에 놓였다. 계곡물 유입을 막아 논의 온도를 높여야 벼가 잘 자란다는 농부 이 서방의 오랜 경험에 따라 산에서 유입되는 물길을 막아놓았기 때문이다.
 

그는 급한 김에 물길을 막은 돌멩이를 치워 올챙이를 살렸지만 오래지 않아 이 서방은 물길을 다시 막는 일이 벌어졌다. 이 ‘환경 분쟁’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4.jpg

“살고 죽는 게 자연계의 엄연한 흐름일지라도 죽음에 정당한 이유가 없다면 일단 산 목숨은 구하고 봐야 하지 않겠는가”라는 생각과 “농부들에게 제 논에 물대기는 제 몸의 피돌기와 같은 생리적 중요도를 가지고 있다”는 생각이 맞부닥쳤다.
 

‘은밀하게 물길을 뚫어야 하나?’ 고민하던 그에게 뜻밖의 간단한 해결책을 이 서방이 실행에 옮겼다. 그는 주먹 만한 돌 대신 그 절반 크기의 돌로 물길을 막아 올챙이가 살면서도 벼의 활착도 막지 않는 해결책을 찾아낸 것이다.
 

여기서 그는 자신이 얼마나 0과 1, ‘이다’와 ‘아니다’로 세상을 가리는 디지털 세상에 물들었는지를 깨달았다. 이 서방에겐 따스한 ‘아날로그 방식’이 살아 있었던 것이다.
 


5.jpg

자연에 대한 섬세한 감수성을 지니고 시골에서 살기는 생각보다 쉽지 않다. 반딧불이를 볼 기대에 부풀었던 논에 어느 날 농부가 덜컷 농약을 치는 일이야 어쩔 수 없다고 치자. 하지만 비오는 어느 날 바다를 보고 싶어 나선 트럭 앞 도로에 줄지어 늘어선 개구리를 본 그는 어쩔 수 없이 발길을 돌려야 했다. 이런 화풀이와 함께.

 


참고 참은 끝에 오늘, 한가로울 줄만 알았던 오늘이 하필이면 개구리 장날, 망할 녀석 개구리 놈들은 부디 잘 먹고 잘 살아아!”(145~147쪽)
 

산골 생활은 외롭다. 그래서 그는 내면의 또 다른 자기와 종종 대화를 나눈다.

 


소나무가 왜 늘 푸른지 알아?”
“바람이 불면 바늘잎 서로가 서로를 정신없이 찌르느라 멍들어서 그래!”
“그럼 하늘이 왜 푸른지는 알아?”
“사람들이 누군가를 때리기 위해 손을 들어 올릴 때마다 먼저 하늘을 아프게 찔러서 멍들어서 그래!”
“그럼 이건 어때? 개울물이 왜 푸른지는 알지?”

“그건, 내 눈물이야!”
 

고충녕씨는 한겨레 생태환경 전문웹진 <물바람숲> 자유게시판에 근황과 생각을 담은 글을 종종 올리고 있다.

 

글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사진=고충녕

위 글은 한겨레신문 환경블로그 <물바람숲>에 실린 것입니다.

0 Comments
시민환경보건센터 후원하기